Seminar & Announcement

Microsoft Startup Connection 2025: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Microsoft Startup Connection 2025: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다가오는 화요일(3월 25일, 오후 5-6시) 마이크로소프트 스타트업 커넥션 행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도 경험을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처음으로 프롬프트 전문을 공개합니다. LLM의 한계를 뛰어넘거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LLM) LLM의 강점을 극대화 한 사례를 전달 할 예정이에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경험의 과학입니다" 경험할 수록, 깊이와 가능성은 무한합니다. 🔥 주요 발표 내용 ❓Microsoft 365 Copilot 으로 업무 효율 극대화 할 수 있을까? 국내 여러 대기업의 프롬프트 패키지 개발을 해오면서 Copilot을 적극적으로 써보고 업무 생산성을 일군 사례를 소개합니다. 같은 hashtag#Copilot 이라도 프롬프팅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 모호한 사용자 의도 분석 할 수 있을까? 프롬프트는 LLM과의 대화 도구입니다. 대화를 분석하면 언어의 숨겨진 의미(implicit language)를 알 수 있어요. 대화는 턴과, 행위, 구조, 그리고 스탠스의 복합적인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순한 대화도 이면을 파헤치면 사용자의 의도를 알 수 있습니다. 생성형 AI 서비스에서 사용자 세그먼트를 분석하는 기법을 소개합니다. ❓LLM의 맥락을 유지하고 기억을 늘릴 수 있을까? 단순히 토큰을 기준으로 청킹(Chunking) 하지 않고, 대화 분석의 방법을 소개합니다. 조금은 다른 멀티턴으로 LLM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 Sujin_Kang
👍
1
[오픈 카카오톡 방]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연구방
[오픈 카카오톡 방]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연구방 지난 여름 평범한사업가인 허민님께서, 유투브 채널에 초대해주셨습니다. 민님은 제가 뤼튼에 근무할 당시, WCC (뤼튼 공인 홍보대사)로 활동하셨던 분입니다. 제 강연을 한 번 듣고.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역할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달라지셨다고 해요. 민님은 커뮤니티 전문가 입니다.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을 연결하고 자연스럽게 소통하게 하는 능력을 갖고 계세요. 저에게 종종 "커뮤니티"를 하나 만들라고 권유 하셨는데, 성격상 낯설고 어색하여 만들지는 못했어요. 그런 저 대신 직접 커뮤니티를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렇게 만든 오카방(오픈 카카오톡 방)이, "국내 1호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연구방" 입니다. 현재 400명 이상이 참여 중이며, 주로 패스트캠퍼스 오프라인 수업 수강생, 각종 오프라인 세미나 및 강연에서 만나 뵌 분들, 민 님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찾아오신 분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방 이름처럼 프롬프트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교류하는 공간입니다. 이 방의 최대 장점은, 분절된 정보가 아닌 연결된 정보를 공유한다는 점이라 생각합니다. 혼자만 알고 있는 정보는 분절된 상태입니다. 타인으로부터의 이야기를 듣고 의견을 듣다보면,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연결되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프롬프트 "교류"와 "소통" 관심이 있다면, 이 방에 오셔도 좋겠어요. 이 방에서, 종종 뵙겠습니다. 💌 소통 공간을 만들어준, 민님께 감사드립니다.
  • Sujin_Kang
👍
4
[Keynote] Microsoft StartUp Connection 2025: 생성형 AI와 함께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성장했을까?
Microsoft StartUp Connection 2025: 생성형 AI와 함께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성장했을까? Keynote: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전 유즈케이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감사하게도 Microsoft 행사에 초대받았습니다. 생성형 AI는 스타트업의 혁신을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견인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프롬프트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프롬프트 엔지니어이자 작은 스타트업의 대표로서, 실전에서 부딪히며 깨달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힘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 스피치 내용 ✔ B2C/B 실전 경험 기반 – 단순한 이론이 아닌, 직접 겪은 성공과 실패 사례 공유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실제 효과 – 단순한 입력 값을 넘어, 가치를 만들어본 사례 ✔ 스타트업이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 –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동화, 개인화, 비용 절감을 이루기 위한 방법론 '개인화'와 '비용절감'은 고군분투 중인 영역입니다. 언어의 관점에서 '프롬프트'를 완전한 자연어라하기엔 어렵습니다. 기계어와 자연어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찾아야 해요. 이를 위해, AI가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고, 코어를 심고, LLM 답변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는데요. 이번 스피치에서 이를 중점으로 다루려고 합니다. 참여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하실 수 있습니다 ^-^ ✔️ 장소: 코엑스 아셈볼룸(2층) ✔️ 날짜: 2025년 3월 25일 화요일 오전 9:30 ~ 오후 6:00 ✔️ 신청 방법: https://msevents.microsoft.com/event?id=2721908087
  • Sujin_Kang
👍😀
6
[완료] Talk: Prompt and Language
Talk: Prompt and Language "Language" 와 "Linguistics"를 주제로 Talk 을 했습니다. 약 100 분과 함께 뜻깊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프롬프트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그리고 어떻게 언어학과 맞닿아 있는지를 소개했습니다. LLM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 언어학의 여러 이론과 방법을 프롬프트에 녹여 풀고 있습니다. Talk에서 언어학의 syntax, semantics, pragmatics 을 바탕으로 LLM 활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경험을 다뤘습니다. '한국어'는 프롬프팅을 할 때 특히나 원하는 결과를 얻기가 어렵습니다. 한국어로 된 데이터는 LLM을 사용하려고 할 때 처리가 까다롭습니다. 왜 어렵고 왜 까다로울까요? 현상이 아닌 본질을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Talk의 목표 (1) 언어학의 기초 개념 이해하기 (2) LLM의 한계와 언어학 이론을 토대로 해결 방안 찾기 (3)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시각 넓히기 (4) 인간의 언어와 철학에 대한 이해 높이기, 기술과 인간의 사고 방식 연결방법 ✅ '프롬프트'와 '언어학'의 상관관계 언어학의 Foundation 을 통해 문장 구조, 단어 관계, 사용 맥락을 고려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음.
  • Sujin_Kang
👍😍
5
[티타임즈TV] 1st, 2nd, 3rd 많이 쓰고 “이건 하면 안돼” 가르쳐줘라
https://www.youtube.com/watch?v=X7ycln4JREM [티타임즈TV] 1st, 2nd, 3rd 많이 쓰고 “이건 하면 안돼” 가르쳐줘라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네 번째 시간, 챗GPT가 좀 더 사고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마법의 한 줄은 무엇일까요? 예를 들면 1st, 2nd, 3rd를 쓰면 챗GPT가 좀 더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또 대조적인 것을 보여주면 더 잘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건 좋은 예시이고 이건 하면 안돼” 이렇게 가르쳐주는 거죠. 사람에게 시킬 때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티타임즈TV 프롬프팅 강의 4편이 나왔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LLM을 조금 더 사고할 수 있게 하는 프롬프팅 방식"을 다룹니다. 느리게 사고하면, 모델의 결과가 왜 달라질까요? 느리게 사고하게 하는 프롬프트는 어떤 것일까요? 모델이 사고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핵심 내용: CoT 프롬프팅 (Chain-of-thought) 제로샷 연쇄 사고 대조적 연쇄 사고 스텝백 프롬프팅 사고의 흐름(Thread of Thought) 영상과 별도로, 공부할 수 있는 자료를 이 곳에 올렸습니다. #티타임즈 #프롬프트 #프롬프트엔지니어링 #CoT #Chain-of-thogutht #prompting #promptengineering
  • Sujin_Kang
👍
5
[세미나] Talk: Prompt and Language, The Science of Prompts
[세미나] Talk: Prompt and Language, The Science of Prompts 안녕하세요. Talk: Prompt and Language, The Science of Prompts 주제로 무료 세미나를 합니다. 그간, 저는 프롬프팅/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중점을 둔 세미나를 해왔습니다. 이번에는 언어학 관점에서 프롬프트와 대화 기술을 깊이 있게 다루고 싶어서, 직접 세미나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무료로 아무나 오실 수 있도록 편한 자리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Seminar 정보 무료입니다. 제목 : Talk: Prompt and Language, The Science of Prompts 일시 : 2025. 02. 21일 금요일 오후 7:00 ~ 9:00 행사장소는 30분 전, 오후 6시 30분에 입장가능합니다. 장소 : 오프라인, 강남 스타트업얼라이언스 &Space [카카오맵 / 네이버지도] 주차 지원은 본 건물에서 불가하오니, 근처 차병원 주차장과 같은 주차시설을 활용하시거나,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참조 : 강남차병원 주차장 - 네이버지도] [안내사항]
  • T
    Two_Jay
👍👍🏻
4
[세미나] Prompt Flow 기반 생성형 AI 활용 Agent 구축하기
Prompt Flow 기반 생성형 AI 를 활용한 Agent 구축하기 패스트캠퍼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3기 수업이 한창입니다. 매주 게스트를 모시고 프롬프트 관련 세미나 자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번 4주차에는 Microsoft 의 Hyounsoo Kim 을 초청했습니다. Azure Prompt Flow 기반의 AI Agent 구축하는 법을 주제로 유용한 강연을 들었습니다. 4주차 수업에서는 프롬프트를 테스트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배우는데요. 특히 테스트와 평가 자동화를 위해 single agent와 multi agent의 개념을 함께 다루며, Langgraph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나아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구현하는 multi agent까지 폭넓게 학습합니다. 이어서 현수님께서 프롬프트 작업 효율화를 돕는 Microsoft의 주요 도구 두 가지를 소개해주셨습니다. 도구 1️⃣ Codespaces (통합개발 환경 IDE) 클라우드 상에서 호스팅되는 개발 환경으로, 개발자가 어디에서든 빠르게 코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현수님께서 제가 작업한 Solar-pro cookbook 도 Codespaces 작업을 해주셨습니다. ) → Solar Cookbook 사용해보기 도구 2️⃣ Prompt Flow
  • Sujin_Kang
[티타임즈TV] 프롬프트 편 정리
안녕하세요. 티타임즈TV에서 프롬프트를 주제로 시리즈 컨텐츠를 촬영하고 있습니다. 수업에서 미리 고안한 커리큘럼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하다 보니, 기초 개념들을 자세히 설명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티타임즈에서 촬영해둔 영상들이 있으니 하나하나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요약은 Lilys AI 를 사용하여, 조교님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보경 AI가 쓴 것 같지 않게 챗GPT로 보고서 쓰려면 (프롬프트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 📌 주제 모아보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유리한가? 강남역에 있는 코딩 학원 다닌 이유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하는 일은?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개발자를 대체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다 언어학 박사가 어쩌다가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프롬프팅 엔지니어링 기법들이 실제로 적용되지 않을 때가 있다 GPT를 어르고 달래야 하는 이유 도메인 지식이 중요한 이유 ✅ 핵심 요약 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와의 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AI의 성능은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짐. 프롬프트의 정의 프롬프트는 AI에게 명령을 내리는 입력으로, 간단한 질문부터 복잡한 요청까지 다양함. 프롬프트는 '어떤 다른 사람에게 신속하게 무엇을 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짐. 컴퓨터의 발전으로 명령어를 프롬프트라고 하면서 오늘날의 생성형 AI와 대화하기 위한 어떤 대화 수단, 그 명령어를 프롬프트라고 함. 입력 방식에 따라 프롬프트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개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입력 메시지를 통해 AI에게 신호를 보내고 결과를 받는 과정임.
  • 보경
👍
1
[AI타임스] 프롬프트 엔지니어 평가 결과 "업스테이지 모델 번역 정확도 가장 높아"
프롬프트 엔지니어 평가 결과 "업스테이지 모델 번역 정확도 가장 높아" 국내 최초의 전문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최근 화제인 딥시크를 비롯, 국내외 대표적인 대형언어모델(LLM) 5종의 번역 능력을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국내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의 ‘솔라’가 뛰어난 성능을 입증, 눈길을 모았다. 강수진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2일 링크드인을 통해 국내외 대표 LLM 성능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그는 업스테이지와는 관계가 없다. 지난 2023년 국내 최초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뤼튼테크놀로지스에 발탁, 화제를 모았던 인물이다. 현재는 더 프롬프트 컴퍼니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딥시크의 한국어 성능이 궁금했다는 것이 이번 실험을 진행한 계기라고 밝혔다. 이번 테스트에는 ▲딥시크챗을 비롯해 ▲GPT-4o ▲클로드 3.5 소네트 ▲제미나이 1.5 프로 ▲솔라-프로 등 5개 모델을 포함했다. 먼저 정성적인 부분의 측정을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사를 번역했다. 비교를 위해 인간이 직접 번역한 국내 매체의 번역문을 정답으로 참고했다. 그 결과 솔라 프로의 번역 결과가 인간 번역문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딥시크챗은 고유명사 정확도가 많이 떨어졌다. GPT-4o는 영문 표기를 그대로 유지했다. 제미나이 1.5 프로는 고유명사 및 핵심 문장 구조가 거의 일치하지만, 직역 문장이 많았다. 클로드 3.5 소네트는 한국어 표현이 가장 깔끔하고 유려하지만, 고유명사와 인명 표현에서 문제를 드러냈다. 문제점이 가장 적은 것은 솔라라고 평가했다. 원문을 그대로 옮기는 듯한 뉘앙스가 있지만, 인간 번역과 어순과 사용 단어가 가장 많이 일치했다는 분석이다. (사진=링크드인, Sujin Kang Ph.D.Sujin Kang Ph.D.) 두번째로 진행한 정량 분석에서도 솔라-프로가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이번에는 다른 매체의 인간 번역문을 정답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번역을 위한 시스템 프롬프트 제작 ▲LLM을 각각 20번씩 실행해 번역 결과를 총 100개 산출(프롬프트 강건성 테스트) ▲각 모델의 번역 결과를 기사 원문과 비교해 벤치마크로 점수 측정 ▲20건의 점수 측정값을 토대로 모델별 산술 평균 계산 등이 과정을 거쳤다. 정답과 의미상 유사 여부를 따지는 항목에서는 ▲솔라 프로 0.92 ▲소네트 3.5 0.91 ▲딥시크 챗 0.86 ▲제미나이 1.5 프로 0.85 ▲GPT-4o 0.77의 결과가 나왔다. 이어 단어-어절 수준으로 답을 세분화한 결과, 소네트 3.5가 가장 우세했다. 솔라-프로는 3위를 기록했다. 강수진 엔지니어는 “의미 유사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솔라 프로를 추천하고, 어휘 및 구문 등 표현 유사도를 따진다면 소네트 3.5가 강점을 가진다"라고 정리했다.
  • Sujin_Kang
👍
1
[티타임즈TV] 딥시크, 너가 틀렸어" 계속 우기자 딥시크가 내놓은 답
"딥시크, 너가 틀렸어" 계속 우기자 딥시크가 내놓은 답 티타임즈 TV 티타임즈 TV에서 "프롬프트" 중심으로 콘텐츠를 촬영하고 왔습니다. 여러 방송 및 언론매체에서 딥시크의 영향과 현황이 보도 되고 있죠. 하지만 "실제로 딥시크의 답변과 프롬프트에 대해" 정성 분석한 콘텐츠 보기 드문 편입니다. 그래서, 이번 영상에서는 딥시크를 직접 사용해보고 타모델 (OpenAI o1, Gemini, Claude)과의 답변 차이를 명확히 비교했습니다. 어떤 점이 왜 다른지 집중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 주요 내용] ✅ Bouncing Ball Test : 새로운 벤치마크 문제를 풀 수 있을까? 삼각형 안에서 빨간 공이 이리저리 튕기는 애니메이션 (html 로 구현)테스트 OpenAI o1와 DeepSeek R1 모델의 성능을 직접 비교 ✅ 모델 답변 비교: 어떻게 다른가? 무엇이 다른가? OpenAI o1 vs. DeepSeek R1 ✅ R1의 네 가지 키워드 CoT Prompting, Reflection, Exploration, Aha Moment ✅ R1 프롬프팅 가이드라인 (API 사용 시 참고) *Huggingface 에서 R1 사용 가이드라인을 참고 <개인적인 R1 프롬프팅 팁> Prompt 구성: 상황 + 과제 + 출력 지시문 출력 지시문 예시: <Think> 사고 과정을 적게하기 </Think> <Answer> 답변 </Answer> 🔥 티타임즈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gPYKZDja3SI&t=662s 🔥 프롬프트 가이드라인: https://huggingface.co/deepseek-ai/DeepSeek-R1/blob/main/README.md#usage-recommendations
  • Sujin_Kang
2
👍
1
[세미나] 대화 분석과 언어학 그리고 프롬프트
[세미나] 대화 분석과 언어학 그리고 프롬프트 안녕하세요. 강수진입니다. 슬래시페이지 만들고 처음 하는 공지예요. 작년 한 해는 급급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 열심히 교육 컨텐츠 만들고 전달하느라, 제 전공인 Conversation Analysis 와 Interactional Linguistics 에 대해 이야기를 못했던 것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매일 프롬프트를 쓰면서 전공 지식을 많이 녹이며 여러 현업의 문제를 해결해 보고 있는데요. → 가볍게 모여, 대화 분석학의 이모저모를 말하며, → 언어학의 중심 개념을 살펴보며, → 프롬프트 중심으로 아이디어를 발산할 시간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 하여 소소한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 동료 정준님이 세미나를 주도적으로 도와주실 예정이에요. Seminar 정보 무료입니다. 인원: - 10명 미만이면, 오프라인 - 10명 이상이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추후 공지) - 시작 시간 있지만, 끝나는 시간은 없습니다. 장소: 서울 강남구 청담동 Wework 혹은 강남일대 세미나 날짜 및 시간: A: 2025년 2월 21일 금요일 오후 6시 B: 2025년 2월 22일 토요일 오후 1시 신청 방법: 아래 구글폼을 1/23일 자정까지 작성해주세요.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WD3B_AqA34HvKw3JUw0QGI3nzVwWfwL_1ZQsIWqf1RYRTaQ/viewform
  • Sujin_Kang
8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