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Media

미디어 속 스포츠약학회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All
기사
유튜브
스포츠약학회, 온라인 세미나 성료...약사·약대생 250명 참석
스포츠약학회(회장 정상원)는 지난 28일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는 사전 신청을 한 약사, 약대생 250여명이 참석했다. △스포츠약학 확장된 정의 △스포츠약사제도 소개 △스포츠약사 커뮤니티 필요성 △스포츠 보충제 성분 특강으로 구성된 온라인 세미나는 약 3시간 진행됐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에서 직접 스포츠약사제도를 소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한편 스포츠약학회는 오는 6월 부산에서 열리는 아시아크로스핏 선수권 대회에 부스를 마련하고, 스포츠약사제도 소개와 도핑 약물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1. 기사
"도핑 예방, 영양 상담 약사에게 받으세요" '스포츠약학회' 힘찬 첫발
  1. 유튜브
"약사 직능 새로운 미래" 스포츠약학회 힘찬 '첫발'
스포츠 분야에서 의약품 전문가의 직능 확대를 꿈꾸는 약사들이 모였다. 스포츠약학회(회장 정상원)는 지난 26일 대한약사회 4층 대강당에서 학회 창립 세미나를 개최했다. 스포츠약사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을 소개하는 이번 세미나에는 약 120여명의 약사·약대생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내외빈 축사 및 격려사 △확장된 정의의 스포츠약학 △스포츠약사제도 소개 △스포츠약사 커뮤니티의 필요성 순으로 진행됐다. 스포츠약학회 정상원 회장은 "스포츠약사는 직능 확대의 기회다. 우리는 이 기회를 영특하게 활용해야 한다"며 "스포츠약사의 역할이 공중보건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일 강조하고 싶은 건 선수 및 일반인의 신뢰 확보와 상대를 설득시킬 수 있는 '전문화'가 필요하다. 프로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에 대한 인식, 컨디셔닝, 영양 등의 학술을 토대로 스포츠약학의 확장된 역할과 정의 정립을 위해 함께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광훈 대한약사회장, 박영달 경기지부장, 최미영 대한약사회 부회장, 이애형 약바로쓰기운동본부장, 이정근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장이 참석해 학회의 첫 출발을 축하했다. 이날 최광훈 대한약사회장은 축사에서 "약사가 스포츠 분야에 어떻게 관여하고, 약학이 무슨 일을 할 수 있는가를 많이 고민했다. 도핑방지를 위해 약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겠다고 생각했다"면서 "이는 약사에게 주어진 사명감과도 일치한다"고 말했다. 최광훈 회장은 "스포츠는 일상생활과 밀접하다. 약사들이 도핑 방지에 관심을 갖는다는 건 우리 이웃을 약물오남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과 동일하다"며 "약사들이 국민들 가운데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 1월 도핑방지위원회와 mou를 맺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는 가운데 스포츠약학회의 창립과 세미나 개최에 기쁨과 보람을 느낀다"고 축하했다. 박영달 경기지부장은 "약국에서 사용하는 약들 중에서도 도핑 약물에 해당하는 의약품들이 있다. 전문 스포츠인도 있지만 생활체육인들에게도 도핑 약물에 대한 교육과 상담이 약사들이 앞으로 해야 할 일이다"고 말했다. 박영달 지부장은 "스포츠약학회 창립은 스포츠영양·약료·약국을 통해 우리 약사 직능 자체가 다변화되고 다각화되면서 국민들에게 더욱더 가까이 갈 수 있는 약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본다"고 격려했다. 지난 1월, 대한약사회와 스포츠약사제도 업무 협약을 맺은 한국도핑방지위원회에서도 세미나 개최를 축하하면서 약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김금평 한국도핑방지위원회 사무총장은 "도핑방지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금지약물로부터 선수 건강을 보호하고 스포츠의 가치를 지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금평 사무총장은 "작년 도핑방지포럼에서 약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확인했다. 대한약사회와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KADA는 앞으로도 약사들의 도핑방지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고, 하반기에는 1기 스포츠약사 양성도 예정돼 있다"면서 "현직 약사들과 약대생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스포츠약학회는 오는 28일 사전 신청자 1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1. 기사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