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ned
SVB 파산 사태
2023년 3월 9일, 미국의 '실리콘밸리 은행 (Silicon Valley Bank, 이하 SVB)'가 파산 사건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벌써 1년이나 지났지만 흥미로운 주제인 거 같아서 정리해봤습니다. 원인이 미국 연의 금리 인상이라고 하는데, 금리가 인상된 것과 은행이 파산한 것은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먼저 은행의 사업 구조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보여드릴게요. 은행은 고객에게 예금, 적금 등으로 돈을 받은 후, 고객에게 약속된 금리대로 이자를 지급합니다. (→ 은행 입장: 이자 비용) 그렇다면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까요? 수 많은 고객에게 받은 자금을 기업이나 국가에 빌려주고, 약속된 금리대로 이자를 받습니다. (→ 은행 입장: 이자 수익) 대출, 채권매입 뭐가 뭔지 헷갈려요! 은행이 기업에 돈을 빌려준다. = 은행이 기업에 대출을 해줬다. = 은행이 지금 돈을 지불하고, 나중에 받을 권리를 취득했다. = 회사채를 매입했다. → 돈 빌려줌 = 채권매입 이때 이자수익이 이자비용보다 크다면, 은행은 차익을 남길 수 있겠죠 즉, 이자수익의 금리가 이자비용의 금리보다 높다면, 은행은 차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 우상향 수익률 곡선(금리 곡선, Yield Curve)입니다. 일반적으로 그림과 같이, 단기채의 이자율보다, 장기채의 이자율이 높게 형성됩니다.
- 사건
- 중급
- 이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