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진밀도 측정기

롭 훕스는 몰치환법 진밀도 측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Rob Hoos의 생두 밀도 측정법 (수중치환법 기반)
준비물
• 눈금이 있는 메스실린더 (예: 50 mL 또는 100 mL 용량)
• 정밀 저울 (최소 0.01g 단위까지 측정 가능한 것)
측정 절차
1.
메스실린더에 물을 채운다
예: 40 mL 지점까지 찬물을 채운다.
2.
생두를 천천히 넣는다
• 물이 올라가는 것을 보면서 50 mL가 될 때까지 생두를 추가한다.
• 이때 얼마나 많은 무게(g)의 생두가 들어갔는지를 측정한다.
3.
계산한다
• 예를 들어, 40 mL → 50 mL로 만들기 위해 11.8g의 생두를 넣었다면,
→ 10 mL의 부피에 11.8g이 들어간 것.
→ 이를 100배 하면, 1180 g/L가 됨.
공식
g/L = (g / mL) × 100
예시)
• 생두 무게: 11.8g
• 부피 증가: 10 mL
• 계산: (11.8 ÷ 10) × 100 = 1180 g/L
해석 기준
• 1160–1200 g/L 이상: 고밀도 생두
→ 열을 빠르게 적용해도 구조적으로 버틸 가능성 높음
• 1120 g/L 이하: 저밀도 생두
→ 급격한 열 적용 시 결점(예: tipping) 발생 위험 높음
장점
• 공기층 영향 없이 정확한 생두 입자 밀도 측정 가능
• 생두 구조에 맞는 로스팅 속도/강도 설계에 도움
1.
첫번째 칸은 40ml 용량입니다. 저울에 올려두고 이곳에 물을 가득 채우세요 가이드를 이용해서 표면장력이 생기는 순간이 가득찬 상태입니다. 그상태에서 저울의 영점을 잡아주세요.
2.
2단에 가이드를 두고 생두를 넣어주세요. 2단까지 가득차면 50ml입니다. 만일 3단까지 물을 가득 넣게 되면 60ml입니다.
일반적인 생두의 진밀도는 1150~1300 입니다. 따라서 11그램의 생두는 준비해두고 한번에 넣으시고, 한알 씩 추가해서 가이드에 물이 닿을 때 무게를 확인하세요.
3.
이 시점의 무게 x100이 진밀도입니다. 만일 3단까지 가득 넣은 상태라면 x50이 진밀도입니다.
진밀도 측정의 다른 방법
위 진밀도 측정방식에서, 생두 넣는 시간이 오래걸리면 생두가 물을 흡수해서 오차가 발생할 있습니다.
반대로 생두를 미리 넣고 물을 넣어서 측정하는 방법이 좀더 빠릅니다.
생두를 10g을 넣고
물을 50미리 선까지 채워넣습니다.
이렇게 측정된것을 계산하면
10/(50-40.9) = 1.098로, 밀도는 1098이 나옵니다. 이것은 물 1g이 부피 1일 경우입니다.
하지만, 온도에 따른 물의 부피는 값이 다릅니다.
만일 물온도가 20도 였으면 1:0.9982=x:40.9
부피 x =40.9/0.9982
10/(50-(40.9/0.9982)) = 1.108이여서 1108죠.
측정시 물의 온도(26,8도)로 계산해야 합니다. 이 온도에서 부피는 0.9966을 곱해야 합니다
따라서
10/(50-(40.9/0.9966)) = 1.116이여서 1116으로 계산됩니다.
그러니깐, 대략... 물 온도가 20도면 무게에서 10정도 더해주고, 물온도가 25~30도 사이면 20정도 더해주면 될꺼 같습니다. 오차가 있지만, 크게 의미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글이 길어서 복잡해 보이지만 요약하면,
물치환법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는데,
1.
물을 40ml넣고 생두를 넣어서 10ml추가된(총 50ml)될때의 무게를 측정 후 1000을 곱하면 됨
2.
생두 10그램을 넣고 50ml의 물을 넣어서 아래 계산식에 넣으면 대략적인 진밀도임. 물온도를 고려해서 +10, +20 해도 될듯.
계산식 : 10/(50-물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