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 단위로 목표를 세우고 달성합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할지 직접 고민해 결정할 수 있습니다.
2.
모두가 사용자에 절여지는 팀
a.
모든 의사 결정은 '사용자'로부터 근거를 찾아야 하고, 사용자 근거를 모으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팀의 노하우를 쌓아나가고 있습니다.
b.
입사 첫주에 모든 Product Engineer는 코드를 단 한 줄도 짜지 않고, 사용자를 만나고 이해하며 문제에 몰입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c.
이후에도 모든 팀원은 반복적으로 개밥먹기, 통계, 인터뷰, 기능 홍보까지 사용자를 직접 만나며 이해도를 높여야합니다.
d.
이 과정을 통해 배운 것을 팀에 공유합니다.
i.
슬랙 #user 채널에 모두가 배운점을 공유하고, #idea 채널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올립니다.
ii.
매주 정기 공유 시간에도 나눕니다.
3.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피드백/회고
a.
우리팀의 핵심가치는 근사하지만 평소에는 잊고 사는 이야기가 아니라 매순간 실천해야만하는 원칙입니다. 채용, 입사 후 모든 피드백과 회고는 핵심가치를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b.
정기공유 : 매월 회고시간에 회사의 주요 지표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철저하게 반성합니다.
i.
매주 금요일에 공유시간을 갖습니다.
ii.
4주, 8주, 12주차에는 목표 달성 상황에 대해 더 자세히 공유하고 회고합니다.
c.
정기 1on1 : 4주, 8주, 12주차에 팀 리더와 1on1시간을 갖습니다. 이니셔티브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필요한 지원에 대해 요청할 수 있습니다. 리더는 [핵심가치]를 기준으로 피드백을 드립니다.
4.
팀 생산성 증대
a.
개발 생산성 회의 : 매주 AI로 개발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었던 노하우와 중요한 기술 흐름에 대해 공유합니다.
b.
노하우북 : 사용자 인터뷰 방법, 최신 사용자 인풋을 잘 모으는 법, 프로젝트 우선순위를 잘 결정하는 법, 스펙을 잘 짜는 법, 프롬프트를 잘 짜는 법, 빠른 릴리즈 스펙 정하는 법, 배포 후 개선을 잘 하는 법, 신기능을 잘 전파하는 법 등 모든 업무 과정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AI를 잘 활용하는 노하우를 기록하고 전파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