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스타트업은 모두 망할까? (AI 응용앱들의 미래)
바야흐로 AI의 시대입니다. 소위 말하는 ‘AI Wrapper’ 서비스들이 매일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동시에 AI도 거품이 아니냐, 자체 모델 없는 회사들은 ChatGPT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위험해질 것이다, LLM 모델 비용이 너무 비싸서 자생하기 어렵다 등 우려도 나옵니다. 그렇다면 자체 모델을 보유하거나 VectorDB 같은 기술을 연구하는 회사는 더 안전할까요? 사실, 지난 몇 년간 모델 개발사들은 더 빠르게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특정 분야의 특화 모델은 거대 모델 등장으로 무용지물이 되었고, 파인튜닝이나 VectorDB 기술도 거대 모델의 업데이트마다 입지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동시에 자본이 있는 빅테크 회사들은 모두 거대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OpenAI, Anthropic, Meta, Google 등은 치열하게 경쟁하며, 이로 인해 모델 비용은 빠르게 인하되고 있습니다. STT 모델은 하루아침에 무료가 되었고, LLM 모델도 1년 사이 10배 이상 저렴해졌습니다. Amazon, Salesforce 같은 회사도 웹 초창기에는 “DB Wrapper 아니냐?”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브라우저 회사가 모든 것을 해버리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이야기도 많았습니다. Notion, Canva 같은 제품들도 특별한 기술로 성장한 것이 아닙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고객의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하는가” 입니다. 저희 같은 AI 응용 앱 회사가 망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고객을 만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이지, 자체 기술이나 높은 원가 때문은 아닐 것입니다. 우리는 오직 고객 문제 해결과 혁신적인 제품 경험에 집중하는 것만이 해자를 만든다고 믿습니다. 참조. 고객 문제 해결에 집착하는 업무방식
- AI시장
- TeamLilys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