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 팔로우도 리더쉽이다. 🏃🏻♂️🏃🏻♀️🏃🏻
어제 우리팀 재이님과 우리팀 분위기가 좋고 모두 얘기를 쉽게 꺼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얘기를 나누었다. 재이님은 3인 법칙이 자신도 팀에 자유롭게 얘기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즉 먼저 팀에 자유롭게 떠드는 사람이 세명 이상 있었다는 이야기. 그 얘기를 나누며 나는 Fast Follwer 영상이 떠올랐다. 처음엔 한명의 사람이 다소 우스꽝스럽게 춤을 추고 있었다. 사람들은 신경쓰지 않거나 우스워했다. 얼마 후 다른 사람이 용기를 내어 그 사람 쪽으로가 함께 춤을 추었다. 그 뒤에 또 다른 사람이. 그 뒤엔 여러 사람이. 이윽고 거대한 군중이 함께 춤추고 놀게 되었다. 어린시절로 돌아간 것처럼, 모든 것을 내려 놓고. 내가 겪은 내 주변의 패스트 팔로워의 리더쉽 사례는 아무래도 재광님인 것 같다. 팀도 다르고 나이도 다른 우리는 지난해 정말 많은 것을 함께했다. 조직내 프론트엔드 개발자 모임과 활동을 위해 만들었던 fe guild도 함께 운영했고. 그게 연이 되어 조직의 공통 컴포넌트를 만들고 싶어 @place/ui(우리는 pui라 부른다)도 함께 만들어 운영환경에 적용했다. 내가 조직에 '이런 게 필요합니다'라고 외치거나 어떤 모임을 만드려고 할 때 항상 재광님이 패스트 팔로워로서 지지를 보내주고 참여해주셨다. 재광님이 아니었다면 다 동력을 잃고 만들어내지 못했을지도. 패스트 팔로우도 리더쉽의 한 형태다. 영상에서도 볼수 있듯이. 그런 면에서 재광님은 나에게 그런 리더쉽을 보여준 분이다. 최근 llm 과 rag 에 대해 얘기하던 중 재광님이 n8n 을 소개해주었다. 나는 이게 되게 멋진 워크플로 툴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결심했다 이번엔 내가 재광님의 패스트 팔로워가 되기로. 이 사람을 지지하고 함께 완성해가기로.
- JeGwa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