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2️⃣

Ch2. 콘솔 경험하기

바로가기
서버에 접근하기
이전 단원에서 PostgreSQL을 설치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PostgreSQL를 살펴볼 차례다. 제일 먼저 서버의 DB(DataBase의 약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가지다.
TUI 기반 콘솔(Console 또는 터미널이라고 한다.)을 사용하는 방법
GUL 기반 pgAdmin을 사용하는 방법
TUI (Text-base user Interface 또는 terminal user interfaces) 기반의 방법은 추후에 공부하겠지만 서버를 구축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에 서버용 운영체제에서는 GUL(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도구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GUI 기반 pgAdmin으로 공부하게 된다면 쉽고 빠르게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친숙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엔 GUI 방법으로 공부를 하고 나중에 TUI 방식으로 적용해 볼 것이다.
pgAdmin
이전 단원에서 잘 설치 했다면 pgAdmin 4가 설치되어 있을 것 이다.
프로그램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열리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설치할 때 입력한 접근 암호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우선 자신의 DB에 접근했다면, 옆 브라우저 탭을 확장해서 목록을 봐 보자.
CRUD
CRUD란 Create, Read, Update, Delete를 가리킨다.
보통 우리가 게시판을 운영한다면 글을 생성(Create)하고, 글 목록을 읽어(Read)서 표시해주고, 글을 수정(Update)하고, 지울(Delete)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atabases 를 우클릭 하여 Create를 클릭 Database를 클릭하여 DB를 생성할 수 있다.
test DB를 생성해 보자.
test DB를 생성했다면, test DB를 펼쳐보자.
그럼 DB 속 다양한 목록들이 있는데 차차 배우기로 하고 스키마를 생성해보자.
스키마(Schema)란?
스키마 생성
스키마(Schemas)를 우클릭한다. > Create 클릭 > Schema 클릭 > Name에 스키마 이름 입력.
콘솔이나, Query Tool 창에서 밑의 코드 입력
그리고 생성한 sqlstudy 스키마 를 클릭한 후 속에 있는 테이블(Tables)을 클릭한다.
테이블 생성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와 테이블(Table)
우선 테이블을 만들어보자.
pgAdmin으로 생성
같은 방법으로 테이블을 우클릭하여 Create를 클릭 Table 버튼을 클릭한다.
Name 칸에 원하는 테이블의 이름을 작성하고, Columns 탭으로 들어간다.
+를 눌러 행(또는 튜플 Tuple)을 추가한다.
콘솔이나, Query Tool 창에서 코드 입력
여기서 "스키마명." 을 입력하지 않으면 public Schema 폴더로 들어가게 된다.
테이블명, 컬럼이름 등의 개체 명은 PostgreSQL 내부에서 소문자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 생성 문장에서도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주의! 각 컬럼을 만들 때, 한줄이 끝나면 꼭 콤마(,)를 넣어주어야 syntax error가 나지 않는다. 또 마지막 문장을 작성하고 콤마(,)를 넣게 되면 이후에 문장이 없어 괄호가 닫히므로 에러가 난다. 따라서 마지막 문장은 콤마를 넣지 말자.
예를 들어 회사 직원들의 정보를 테이블 만든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아마 이대로 입력하면 syntax error at or near "REFERENCES" 라는 에러가 날것이다. 이유는 외부키 와 REFERENCES 탭을 펼쳐보자.)
NUMERICDECIMAL은 뒤에 자료형 단원에서 배우겠지만, INTEGER와 다르게 소수점 까지 표현하며, DECIMAL(p,q)로 표기한다 (또는 NUMERIC(p,q)). p는 전체 길이, q는 소수점 자릿수 이다. 예를들면 DECIMAL(4,3)은 전체 길이가 4자리 숫자이고, 소수점 이하로 3자리 수 까지 임을 나타낸다. 9.999 부터 0.001까지 입력되고, 10.1이나 0.0001은 입력되지 않고 오류를 표시한다.
(NUMERIC 과 DECIMAL 은 둘다 같은 의미이고, 둘다 표준 SQL을 따른다.)
또한 PRIMARY KEY 로 지정할 컬럼들은 선두로 빼는 것이 바람직하다. DBMS에서 PRIMARY KEY 들이 선두에 있어야, 입력된 순서로 레코드를 생성할 때 데이터 접근 성능이 좋아지고,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PRIMARY KEY로 선언하려는 컬럼은 NOT NULL과 같은 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PRIMARY KEY로 지정하는 컬럼의 데이터는 비어 있으면 안되고, 서로 달라야 한다.
심화학습 (PRIMARY KEY, FOREIGN KEY)
PRIMARY KEY 컬럼 여러개 선언하기
외래 키 (FOREIGN KEY) 와 REFERENCES
홈으로 : PostgreSQL
바로가기
서버에 접근하기
이전 단원에서 PostgreSQL을 설치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PostgreSQL를 살펴볼 차례다. 제일 먼저 서버의 DB(DataBase의 약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가지다.
TUI 기반 콘솔(Console 또는 터미널이라고 한다.)을 사용하는 방법
GUL 기반 pgAdmin을 사용하는 방법
TUI (Text-base user Interface 또는 terminal user interfaces) 기반의 방법은 추후에 공부하겠지만 서버를 구축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에 서버용 운영체제에서는 GUL(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도구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GUI 기반 pgAdmin으로 공부하게 된다면 쉽고 빠르게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친숙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엔 GUI 방법으로 공부를 하고 나중에 TUI 방식으로 적용해 볼 것이다.
pgAdmin
이전 단원에서 잘 설치 했다면 pgAdmin 4가 설치되어 있을 것 이다.
프로그램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열리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설치할 때 입력한 접근 암호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우선 자신의 DB에 접근했다면, 옆 브라우저 탭을 확장해서 목록을 봐 보자.
CRUD
CRUD란 Create, Read, Update, Delete를 가리킨다.
보통 우리가 게시판을 운영한다면 글을 생성(Create)하고, 글 목록을 읽어(Read)서 표시해주고, 글을 수정(Update)하고, 지울(Delete)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atabases 를 우클릭 하여 Create를 클릭 Database를 클릭하여 DB를 생성할 수 있다.
test DB를 생성해 보자.
test DB를 생성했다면, test DB를 펼쳐보자.
그럼 DB 속 다양한 목록들이 있는데 차차 배우기로 하고 스키마를 생성해보자.
스키마(Schema)란?
스키마 생성
스키마(Schemas)를 우클릭한다. > Create 클릭 > Schema 클릭 > Name에 스키마 이름 입력.
콘솔이나, Query Tool 창에서 밑의 코드 입력
그리고 생성한 sqlstudy 스키마 를 클릭한 후 속에 있는 테이블(Tables)을 클릭한다.
테이블 생성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와 테이블(Table)
우선 테이블을 만들어보자.
pgAdmin으로 생성
같은 방법으로 테이블을 우클릭하여 Create를 클릭 Table 버튼을 클릭한다.
Name 칸에 원하는 테이블의 이름을 작성하고, Columns 탭으로 들어간다.
+를 눌러 행(또는 튜플 Tuple)을 추가한다.
콘솔이나, Query Tool 창에서 코드 입력
여기서 "스키마명." 을 입력하지 않으면 public Schema 폴더로 들어가게 된다.
테이블명, 컬럼이름 등의 개체 명은 PostgreSQL 내부에서 소문자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 생성 문장에서도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주의! 각 컬럼을 만들 때, 한줄이 끝나면 꼭 콤마(,)를 넣어주어야 syntax error가 나지 않는다. 또 마지막 문장을 작성하고 콤마(,)를 넣게 되면 이후에 문장이 없어 괄호가 닫히므로 에러가 난다. 따라서 마지막 문장은 콤마를 넣지 말자.
예를 들어 회사 직원들의 정보를 테이블 만든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아마 이대로 입력하면 syntax error at or near "REFERENCES" 라는 에러가 날것이다. 이유는 외부키 와 REFERENCES 탭을 펼쳐보자.)
NUMERICDECIMAL은 뒤에 자료형 단원에서 배우겠지만, INTEGER와 다르게 소수점 까지 표현하며, DECIMAL(p,q)로 표기한다 (또는 NUMERIC(p,q)). p는 전체 길이, q는 소수점 자릿수 이다. 예를들면 DECIMAL(4,3)은 전체 길이가 4자리 숫자이고, 소수점 이하로 3자리 수 까지 임을 나타낸다. 9.999 부터 0.001까지 입력되고, 10.1이나 0.0001은 입력되지 않고 오류를 표시한다.
(NUMERIC 과 DECIMAL 은 둘다 같은 의미이고, 둘다 표준 SQL을 따른다.)
또한 PRIMARY KEY 로 지정할 컬럼들은 선두로 빼는 것이 바람직하다. DBMS에서 PRIMARY KEY 들이 선두에 있어야, 입력된 순서로 레코드를 생성할 때 데이터 접근 성능이 좋아지고,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PRIMARY KEY로 선언하려는 컬럼은 NOT NULL과 같은 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PRIMARY KEY로 지정하는 컬럼의 데이터는 비어 있으면 안되고, 서로 달라야 한다.
심화학습 (PRIMARY KEY, FOREIGN KEY)
PRIMARY KEY 컬럼 여러개 선언하기
외래 키 (FOREIGN KEY) 와 REFERENCES
홈으로 : PostgreSQL
바로가기
서버에 접근하기
이전 단원에서 PostgreSQL을 설치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PostgreSQL를 살펴볼 차례다. 제일 먼저 서버의 DB(DataBase의 약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가지다.
TUI 기반 콘솔(Console 또는 터미널이라고 한다.)을 사용하는 방법
GUL 기반 pgAdmin을 사용하는 방법
TUI (Text-base user Interface 또는 terminal user interfaces) 기반의 방법은 추후에 공부하겠지만 서버를 구축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에 서버용 운영체제에서는 GUL(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도구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GUI 기반 pgAdmin으로 공부하게 된다면 쉽고 빠르게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친숙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엔 GUI 방법으로 공부를 하고 나중에 TUI 방식으로 적용해 볼 것이다.
pgAdmin
이전 단원에서 잘 설치 했다면 pgAdmin 4가 설치되어 있을 것 이다.
프로그램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열리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설치할 때 입력한 접근 암호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우선 자신의 DB에 접근했다면, 옆 브라우저 탭을 확장해서 목록을 봐 보자.
CRUD
CRUD란 Create, Read, Update, Delete를 가리킨다.
보통 우리가 게시판을 운영한다면 글을 생성(Create)하고, 글 목록을 읽어(Read)서 표시해주고, 글을 수정(Update)하고, 지울(Delete)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atabases 를 우클릭 하여 Create를 클릭 Database를 클릭하여 DB를 생성할 수 있다.
test DB를 생성해 보자.
test DB를 생성했다면, test DB를 펼쳐보자.
그럼 DB 속 다양한 목록들이 있는데 차차 배우기로 하고 스키마를 생성해보자.
스키마(Schema)란?
스키마 생성
스키마(Schemas)를 우클릭한다. > Create 클릭 > Schema 클릭 > Name에 스키마 이름 입력.
콘솔이나, Query Tool 창에서 밑의 코드 입력
그리고 생성한 sqlstudy 스키마 를 클릭한 후 속에 있는 테이블(Tables)을 클릭한다.
테이블 생성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와 테이블(Table)
우선 테이블을 만들어보자.
pgAdmin으로 생성
같은 방법으로 테이블을 우클릭하여 Create를 클릭 Table 버튼을 클릭한다.
Name 칸에 원하는 테이블의 이름을 작성하고, Columns 탭으로 들어간다.
+를 눌러 행(또는 튜플 Tuple)을 추가한다.
콘솔이나, Query Tool 창에서 코드 입력
여기서 "스키마명." 을 입력하지 않으면 public Schema 폴더로 들어가게 된다.
테이블명, 컬럼이름 등의 개체 명은 PostgreSQL 내부에서 소문자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 생성 문장에서도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주의! 각 컬럼을 만들 때, 한줄이 끝나면 꼭 콤마(,)를 넣어주어야 syntax error가 나지 않는다. 또 마지막 문장을 작성하고 콤마(,)를 넣게 되면 이후에 문장이 없어 괄호가 닫히므로 에러가 난다. 따라서 마지막 문장은 콤마를 넣지 말자.
예를 들어 회사 직원들의 정보를 테이블 만든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아마 이대로 입력하면 syntax error at or near "REFERENCES" 라는 에러가 날것이다. 이유는 외부키 와 REFERENCES 탭을 펼쳐보자.)
NUMERICDECIMAL은 뒤에 자료형 단원에서 배우겠지만, INTEGER와 다르게 소수점 까지 표현하며, DECIMAL(p,q)로 표기한다 (또는 NUMERIC(p,q)). p는 전체 길이, q는 소수점 자릿수 이다. 예를들면 DECIMAL(4,3)은 전체 길이가 4자리 숫자이고, 소수점 이하로 3자리 수 까지 임을 나타낸다. 9.999 부터 0.001까지 입력되고, 10.1이나 0.0001은 입력되지 않고 오류를 표시한다.
(NUMERIC 과 DECIMAL 은 둘다 같은 의미이고, 둘다 표준 SQL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