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Ch6. URL로 입력된 값 사용하기 - Node.js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
id=html&page=12 : 다음 보라색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이라고 하는데, 웹서버에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QueryString의 시작은 ? 기호로 시작하기로 약속되어있고, 값과 값은 &를 사용하기로 했고, 값의 이름과 값은 =로 구분하도록 약속되어있다.
URL을 이용한 동적으로 정보 전송
지금부터 QueryString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우선 우리의 목표는 url을 분석하여 /?id= 이후의 정보를 받아와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main.js 파일을 수정해 볼 것이다. (변경된 부분은 보라색 주석이다.)
URL을 이해하기
다음 URL 을 살펴보자.
http://opentutorials.org:3000/main?id=html&page=12
http : 다음은 프로토콜(Protocal) 통신규칙을 나타낸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칙이다. FTP라고 되어있다면 파일을 주고받는 통신 규칙을 뜻한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 File Transfer Protocol
SFTP :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 TErminaL NETwork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 Secure Shell
SSL : Secure Socket Layer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 Adress Resolution Protocol
opentutorials.org : 초록색 부분은 도메인(domain)이라고도 부르고 호스트(host)라고도 부른다. 호스트란 인터넷에 접속되어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3000 : 파란색의 숫자를 포트 번호(port)라고 부른다. 한대의 컴퓨터의 안에는 여러대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애매해다. 이때 3000번 포트로 지정되어있다면 3000번 포트와 통신하게 된다. main.js 파일에서 app.listen(3000)으로 지정했다.
단 80번 포트는 가장 기본적으로 약속된 웹서버 포트이다. 따라서 http로 통해서 접속했다면 80번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된다.
main : 노란색 부분은 서버속 파일의 경로(path)를 나타낸다. 컴퓨터 안의 어떤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