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이희령 | 성장 기록

Small steps make a big difference.
🌱 매일을 기록하며 성장 중인 프론트엔드 개발자
🚀3개의 웹/앱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한 실전 경험
🌞 매일 미라클 모닝과 건강한 루틴을 실천 중인 갓생러
heerealtwo@gmail.com
Last Updated. 2025.06.30

📝성장을 만드는 습관들

‘갓생’을 목표로,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삶을 지향합니다.
매일 투두리스트를 작성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하루를 운영합니다.
규칙적인 루틴을 지키는 삶을 추구합니다.
요즘은 6시 반 기상 → 운동 → 도서관 루틴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어요.
기록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매일 KPT 회고를 작성하고, 모든 학습 내용을 Notion과 기술 블로그에 정리하고 있어요.
요즘 저는 "개발자로서 성장하고 싶다는 욕심"에서 동기를 얻고 있습니다.
CS 학습, 기술 아티클 탐색, 알고리즘 문제 풀이, 사이드 프로젝트 등을 통해 매일 한 걸음씩 성장하고 있어요.

🏢경력

모트렉스이브이(주)

2023.08 - 2024.01 | S.W 그룹 | 매니저 | 정규직
전기차 충전기 관제 시스템 SaaS 플랫폼 웹 프론트엔드 개발
기술 스택: JavaScript, React, Context API, MUI, Axios
소규모 팀에서 서버 개발자, PM, 디자이너와 협업
전기차 충전기의 실시간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
User / Admin / Supervisor 3가지 역할별 권한 정책을 정의하고, UI 및 기능을 조건부 제공
Slack 및 Trello를 활용한 체계적인 태스크 관리로 업무 진행 상황의 투명성 확보 및 팀 협업 효율화

🗂️프로젝트

웹소설 캘린더
리디, 카카오페이지 등 다양한 플랫폼의 웹소설 신작 출간 일정을 한 곳에서 확인하고, 검색할 수 있는 캘린더 형태의 웹 서비스 프로젝트 개요 리디, 카카오페이지 등 다양한 플랫폼의 웹소설 신작 출간 일정을 한 곳에서 확인하고, 검색할 수 있는 캘린더 형태의 웹 서비스 웹소설을 즐겨보는 독자로서, 플랫폼마다 흩어진 신작 캘린더 링크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기획 누적 이용자 400여 명 달성 기술 스택 TypeScript Next.js 15 TailwindCSS Supabase 주요 기능 월별 웹소설 출간 일정을 캘린더 또는 리스트 형태로 제공 → 플랫폼, 장르, 타입별 다중 필터링 기능 포함 작품 및 작가 검색 기능 구현 → 검색 결과 페이지네이션 처리로 UX 개선 작품 클릭 시 해당 플랫폼 페이지로 이동 → 사용자 편의성 향상 관리자 페이지 구축 신작 캘린더 URL 입력 시 플랫폼별 자동 스크래핑 → 데이터 검증 → DB 업로드 파이프라인 구현 트러블슈팅 & 성능 최적화 [문제] 월별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렌더링해야 할 때, 초기 페이지 로딩 속도 저하 및 성능 이슈가 발생함 [해결] Next.js의 SSR + 캐싱 전략 결합 → revalidateTag() API를 적용해 데이터가 갱신될 때만 캐시 무효화하도록 설정 → 초기 렌더링 속도 개선 + 서버 리소스 낭비 최소화 [문제] 플랫폼별 신작 일정은 매월 말 새로운 URL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를 수동으로 등록하고 가공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발생함 [해결] 관리자 페이지에 신작 캘린더 URL 입력 기능 추가 → 입력된 URL에 따라 플랫폼별 자동 스크래핑 → 데이터 검증 → DB 업로드까지 자동화 → 이를 통해 운영 효율성 향상 및 데이터 업데이트 속도 개선 [문제] GA 데이터 분석 결과, 사용자의 검색 기능 활용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됨 [해결] 검색 기능을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검색 버튼에 강조 툴팁 UI를 노출함 → 사용자가 검색 기능을 사용하거나 툴팁을 닫을 경우, 해당 기록을 localStorage에 저장하여 툴팁이 반복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
  1. TypeScript
  2. Next.js
  3. TailwindCSS
  4. Supabase
https://www.novel-calendar.com/
교정일기
치료 일정, 사진 업로드, 비교 이미지 생성 등 교정 과정을 통합 기록할 수 있는 모바일 앱 서비스 개요 치료 일정, 사진 업로드, 비교 이미지 생성 등 교정 과정을 통합 기록할 수 있는 모바일 앱 치아 교정을 시작한 뒤, 매달 치료 내용은 메모장에 따로 기록하고, 치아 사진은 갤러리에 별도로 저장하는 불편을 겪으며, "모든 치료 내역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앱을 기획 출시 후 누적 다운로드 250회 달성, 실사용자 90여 명 확보 기술 스택 Flutter GetX Supabase AWS S3 API Gateway Lambda 주요 기능 치료 일지 작성 → 날짜별로 텍스트 기반 치료 내용 입력 및 리스트 형태로 확인 가능 치아 사진 업로드 및 메모 기능 → 사진에 간단한 메모를 덧붙여 월별로 확인 가능 비교 이미지 생성 → 치아 사진 2장을 선택해 콜라주 이미지 생성 + 다운로드 가능 소셜 로그인 → Google, Kakao 기반의 로그인 및 탈퇴 기능 제공 D-Day 설정 기능 → 교정 시작일을 기준으로 경과일 표시 다크 모드 지원 → 사용자 설정에 따른 UI 테마 전환 트러블슈팅 & 성능 최적화 [문제] 탭 이동 시마다 동일한 데이터를 매번 새로 요청하면서 불필요한 API 호출이 발생함 [해결] GetX의 전역 상태 관리를 활용해 초기 1회 호출된 데이터를 재사용 → 사용자 동작에 따라 데이터가 업데이트될 경우에만 API를 재호출하도록 구조 개선 → 탭 이동 시마다 발생하던 무한 API 호출을 총 2회로 최적화 [문제] 비교 이미지 생성 기능에서 최초 렌더링 또는 날짜 텍스트 온/오프 시마다 이미지 생성 속도가 느려 사용자 체감 성능이 저하됨 [해결] 기존 Canvas 기반의 이미지 렌더링 방식에서 벗어나, 위젯 트리 자체를 이미지로 추출하는 RepaintBoundary 기반 구조로 리팩토링 → 이미지 렌더링 속도를 약 60% 개선, 사용자 체감 성능 향상 서비스 이미지
  1. Flutter
  2. Supabase
  3. AWS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heereal.bracesdiary
분양모음집
공공데이터 API를 활용해 전국 최신 분양 정보를 리스트, 지도, 캘린더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 🔗GitHub 링크 프로젝트 개요 공공데이터 API를 활용해 전국 최신 분양 정보를 리스트, 지도, 캘린더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 복잡하고 어려운 분양 정보를 친근하고 깔끔한 UI/UX로 전달해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목적으로 기획 누적 이용자 1,500여 명 달성 및 공공데이터포털 활용 사례로 선정 팀장 역할을 맡아 전반적인 프로젝트 관리와 디자이너와 Figma를 통한 협업 주도 기술 스택 TypeScript Next.js React Query Recoil Styled-Components Firebase 기여한 부분 관리자 페이지 구축 8개의 공공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가공한 뒤 DB 업로드 DB 업데이트 내역 및 근무일지 기록하는 내부 운영 기능 구현 분양 공고 상세 페이지 지역 코드와 날짜를 기준으로 최신 주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API 동적 호출 캘린더 기반 분양 정보 제공 캘린더 라이브러리를 커스터마이징하고, 분양 형태에 따라 조건부 렌더링 처리 소셜 로그인 및 프로필 페이지 Google, Kakao, Naver 소셜 로그인 구현 회원정보 수정, 필터 조건 저장, 북마크 조회 기능 제공 반응형 UI 구현
  1. TypeScript
  2. Next.js
  3. Recoil
  4. Firebase
https://www.by-zip.com/

📷기록 갤러리

미라클 모닝

벌써 미라클 모닝을 시작한 지도 100일이 넘었네요!
규칙적인 일상을 위해 매일 아침 6시 반에 일어나고 있어요.
아침에 일어나면 간단한 스트레칭 후에 어플로 영어/중국어 공부를 합니다.
그리고 알고리즘 문제까지 하나 풀면 아침 루틴 완료!

투두리스트

1년 넘게 투두메이트라는 앱에 매일 투두리스트를 작성하고 있어요.
매일 기본적인 루틴을 실천하고, 그날그날 할 일을 작성 후 우선순위대로 실천해요.

노션 기록

기술 블로그

개발을 처음 시작했을 때부터 꾸준하게 티스토리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요.
현재 500여 개의 글 작성, 누적 조회수 45,000회 이상을 달성했으며, 주로 기능 구현 및 트러블슈팅 과정, 알고리즘 풀이, 회고 글 등을 작성합니다.

깃헙 잔디 깔기

알고리즘 문제를 풀거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매일 개발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요.

KPT 회고

매일 노션에 KPT 회고와 함께 다이어리를 작성하면서 하루를 되돌아보고 부족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요.

영어/중국어 공부

매일 아침 Speak으로 영어 회화를 연습하고, 듀오링고로 중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요.

독서

책 읽는 것을 굉장히 좋아해요.
문학, 비문학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읽으려고 노력합니다.
작년엔 68권의 책을 읽었고, 올해는 6월 기준 29권의 책을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