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Hidden in Plain Sight: Probing Implicit Reasoning in Multimodal Language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Qianqi Yan, Hongquan Li, Shan Jiang, Yang Zhao, Xinze Guan, Ching-Chen Kuo, Xin Eric Wang

개요

본 논문은 다중 모달 대규모 언어 모델(MLLMs)이 실제 환경에서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입력을 처리하는 능력을 분석합니다. 기존 벤치마크와 달리 실제 환경에서는 누락된 객체, 모순되는 사실, 모호한 참조, 불가능한 작업 요청 등이 포함된 지시사항이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논문에서는 MLLMs가 이러한 암묵적 추론 시나리오(결함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문맥에서 추론해야 하는 경우)를 처리하는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네 가지 실제 실패 모드 범주를 포함하는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6개의 MLLMs(o3 및 GPT-4o 포함)를 평가한 결과, 모델들이 필요한 지각 및 추론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숨겨진 문제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명시적인 프롬프트를 통해 기본적인 능력은 존재하지만 사용자 순응을 위해 종종 억압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신중한 페르소나 프롬프팅 및 특히 질문을 명확히 하도록 요구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추론 시간 개입이 성능을 크게 회복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현존하는 MLLMs에서 추론 능력과 행동적 순응 사이에 지속적인 격차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신중한 페르소나 프롬프팅이나 질문 명확화 요구와 같은 간단한 개입으로 MLLMs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실제 환경에서 MLLMs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실용적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MLLMs의 암묵적 추론 능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한계점:
특정 MLLMs과 제한된 진단 도구에 대한 분석 결과이므로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분석에 사용된 실패 모드 범주가 포괄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안된 개입 전략의 효과가 모든 상황에서 일관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