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Data Balancing Strategies: A Survey of Resampling and Augmentation Methods

Created by
  • Haebom

저자

Behnam Yousefimehr, Mehdi Ghatee, Mohammad Amin Seifi, Javad Fazli, Sajed Tavakoli, Zahra Rafei, Shervin Ghaffari, Abolfazl Nikahd, Mahdi Razi Gandomani, Alireza Orouji, Ramtin Mahmoudi Kashani, Sarina Heshmati, Negin Sadat Mousavi

개요

본 논문은 머신러닝에서 불균형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리샘플링 전략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합니다. 기존의 오버샘플링(SMOTE 등), 언더샘플링 기법부터 GANs, VAEs와 같은 생성 모델을 활용한 최신 딥러닝 기반 기법까지 다양한 접근법들을 합성 오버샘플링, 적응형 기법, 생성 모델, 앙상블 기반 전략, 하이브리드 접근법, 언더샘플링, 그리고 이웃 기반 방법 등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합니다. 실제 구현 및 사례 연구를 통해 각 기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전망을 제시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불균형 데이터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리샘플링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비교 분석하여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
최신 딥러닝 기반 기법들을 포함하여 기존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불균형 데이터 문제 해결에 대한 최신 동향 파악 가능.
실제 구현 및 사례 연구를 통해 각 기법의 실효성을 검증.
향후 연구 방향 제시를 통해 불균형 데이터 문제 해결 연구의 발전에 기여.
한계점:
논문에서 제시된 분류 체계 및 기법들의 상호 비교 분석이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다양한 데이터셋과 실험 설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할 수 있음.
각 기법의 장단점을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
특정 기법의 우수성을 절대적으로 주장하기 보다는 데이터 특성 및 문제 상황에 따른 최적 기법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