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Redefining Superalignment: From Weak-to-Strong Alignment to Human-AI Co-Alignment to Sustainable Symbiotic Society

Created by
  • Haebom

저자

Yi Zeng, Feifei Zhao, Yuwei Wang, Enmeng Lu, Yaodong Yang, Lei Wang, Chao Liu, Yitao Liang, Dongcheng Zhao, Bing Han, Haibo Tong, Yao Liang, Dongqi Liang, Kang Sun, Boyuan Chen, Jinyu Fan

개요

본 논문은 인공 초지능(ASI)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초정렬(superalignmen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접근법이 ASI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인간과 ASI의 공존을 위한 지속가능한 공생 사회를 목표로 하는 초정렬을 재정의한다. 이를 위해 인간 중심적 궁극적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하는 외부 감독 초정렬과 자기인식, 자기반성, 공감을 통해 인간의 의도를 추론하는 내재적 사전예방적 초정렬을 통합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외부 감독과 내재적 정렬의 통합을 통해 인간과 AI의 공동 정렬을 이루고 안전하고 유익한 AGI/ASI 개발을 위한 길을 제시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ASI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새로운 초정렬 프레임워크를 제시함으로써 안전한 AI 개발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진한다.
외부 감독과 내재적 정렬의 통합을 통해 보다 포괄적이고 안전한 초정렬 전략을 제시한다.
인간과 AI의 공생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인간 중심적인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강조한다.
한계점: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하다.
"자기인식", "공감" 등의 개념이 AI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검증이 필요하다.
인간의 가치와 의도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AI에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았다.
ASI의 등장 시점이나 그 능력에 대한 예측이 불확실하여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실질적인 적용 시점을 판단하기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