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 Large-Scale Empirical Analysis of Custom GPTs' Vulnerabilities in the OpenAI Ecosystem

Created by
  • Haebom

저자

Sunday Oyinlola Ogundoyin, Muhammad Ikram, Hassan Jameel Asghar, Benjamin Zi Hao Zhao, Dali Kaafar

개요

본 논문은 OpenAI 마켓플레이스에 있는 14,904개의 커스텀 GPT를 분석하여, 역할극 기반 공격, 시스템 프롬프트 유출, 피싱 콘텐츠 생성, 악성 코드 합성 등 7가지 착취 가능한 위협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커스텀 GPT의 인기도와 보안 위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지표 순위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연구 결과, 95% 이상의 커스텀 GPT가 적절한 보안 조치가 부족하며, 역할극 기반 취약성(96.51%), 시스템 프롬프트 유출(92.20%), 피싱(91.22%)이 가장 흔한 취약성임을 밝혔다. 또한 OpenAI의 기본 모델에 고유한 보안 취약성이 존재하며, 이는 커스텀 GPT에서 종종 상속되거나 증폭됨을 보여주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커스텀 GPT의 보안 취약성이 심각하며, 역할극 기반 공격, 시스템 프롬프트 유출, 피싱 등에 대한 강력한 보안 조치가 시급함을 밝힘.
OpenAI 기본 모델의 보안 취약성이 커스텀 GPT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본 모델의 보안 강화가 필수적임을 시사.
커스텀 GPT의 인기도와 보안 위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위험 관리 및 보안 정책 수립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공.
한계점:
OpenAI 마켓플레이스에 제한된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다른 플랫폼의 커스텀 GPT에 대한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
분석에 사용된 7가지 위협 외 다른 유형의 위협은 고려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음.
다중 지표 순위 시스템의 구체적인 내용 및 평가 기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