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Psychology-driven LLM Agents for Explainable Panic Prediction on Social Media during Sudden Disaster Events

Created by
  • Haebom

저자

Mengzhu Liu, Zhengqiu Zhu, Chuan Ai, Chen Gao, Xinghong Li, Lingnan He, Kaisheng Lai, Yingfeng Chen, Xin Lu, Yong Li, Quanjun Yin

개요

본 논문은 사회 미디어에서 재난 발생 시 대중의 공황 심리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세 가지 주요 과제(정교하게 주석이 달린 데이터 부족, 위험 인식 모델링 부족, 공황 형성 메커니즘의 해석력 부족)를 해결하기 위해 심리학 기반 생성 에이전트 프레임워크(PsychoAgent)를 제안한다. PsychoAgent는 인간-거대 언어 모델(LLM) 협업을 통해 정교한 공개 공황 감정 데이터셋(COPE)을 구축하고, 심리적 메커니즘에 기반한 도메인 간 이종 데이터를 통합하여 위험 인식과 감정 생성의 인지적 차이를 모델링한다. 또한, LLM 기반 역할극 에이전트를 설계하여 개인의 심리적 연쇄 과정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해석력을 높인다. 실험 결과, PsychoAgent는 기준 모델에 비해 공황 감정 예측 성능을 12.6%~21.7% 향상시켰으며, 해석력과 일반화 성능 또한 검증되었다. 이는 불투명한 "데이터 기반 적합"에서 재난 상황에서의 공황 감정 예측을 위한 투명한 "역할 기반 시뮬레이션과 메커니즘적 해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인간-LLM 협업을 통한 정교한 공황 감정 데이터셋(COPE) 구축 방법 제시
심리학적 메커니즘 기반의 위험 인식 및 감정 생성 모델링 프레임워크 제시
LLM 기반 역할극 에이전트를 활용한 해석 가능한 공황 예측 모델 개발
기존 모델 대비 향상된 공황 감정 예측 성능(12.6%~21.7%) 달성
"데이터 기반 적합"에서 "역할 기반 시뮬레이션과 메커니즘적 해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제시
한계점:
COPE 데이터셋의 규모 및 다양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 필요
LLM 기반 역할극 에이전트의 신뢰성 및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실제 재난 상황에 대한 적용 및 검증 연구 필요
다양한 유형의 재난 및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