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In-the-wild Audio Spatialization with Flexible Text-guided Localiz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Tianrui Pan, Jie Liu, Zewen Huang, Jie Tang, Gangshan Wu

개요

본 논문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그리고 임베디드 AI 애플리케이션에서 몰입형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텍스트 기반의 바이노럴 오디오 공간화 프레임워크(TAS)를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이 유연하고 상호작용적인 제어 기능이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 프롬프트를 활용하여 바이노럴 오디오를 생성하고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모델 학습을 위해 376,000개의 시뮬레이션된 바이노럴 오디오 샘플을 포함하는 SpatialTAS 데이터셋을 구축하였으며, 3D 공간 위치 및 상대 위치 프롬프트와 채널 반전 오디오를 활용하여 바이노럴 차이를 학습한다. 시뮬레이션 및 실제 녹음 데이터셋에서 기존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Llama-3.1-8B 기반의 평가 모델을 통해 생성된 바이노럴 오디오와 텍스트 프롬프트 간의 공간 의미 일관성을 평가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텍스트 프롬프트를 이용한 유연하고 상호작용적인 바이노럴 오디오 생성 및 제어 가능성을 제시.
대규모 바이노럴 오디오 데이터셋 SpatialTAS 구축을 통해 모델 학습 및 성능 향상에 기여.
기존 방법 대비 우수한 일반화 성능 및 정확도를 입증.
Llama-3.1-8B 기반의 평가 모델을 통해 생성된 오디오의 공간적 의미 일관성을 객관적으로 평가.
한계점:
SpatialTAS 데이터셋이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기반하여 실제 환경의 다양성을 완벽히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
Llama-3.1-8B 기반 평가 모델의 한계로 인해 주관적인 평가 요소가 여전히 존재할 가능성.
실제 환경에서의 실험 및 검증이 더 필요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