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The Impact of Large Language Models on Open-source Innovation: Evidence from GitHub Copilot

Created by
  • Haebom

저자

Doron Yeverechyahu, Raveesh Mayya, Gal Oestreicher-Singer

개요

본 논문은 GitHub Copilot의 선택적 출시를 자연 실험으로 활용하여,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협업적인 오픈소스 개발 환경에서 혁신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새로운 역량 습득을 통한 가능성 탐색인 '역량 혁신'과 기존 역량 강화를 통한 프로젝트 질 개선인 '반복적 혁신' 두 가지 측면에서 LLM의 영향을 살펴봅니다. GitHub Copilot 출시 이후 전반적인 기여도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특히 유지보수 또는 기능 개선과 같은 반복적 혁신에 대한 기여가 역량 혁신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2022년 6월 모델 업그레이드 이후 이러한 차이는 더욱 두드러졌으며, 활발한 코딩 활동이 있는 프로젝트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LLM의 성능 향상과 문맥 정보 증가가 반복적 혁신과 역량 혁신 간의 격차를 확대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이 비지도 환경에서도 협업적 혁신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LLM은 반복적 혁신(유지보수, 기능 개선)에 대한 기여를 역량 혁신(새로운 기능 개발)보다 더 크게 증가시킵니다.
LLM의 성능 향상과 문맥 정보 증가는 반복적 혁신과 역량 혁신 간의 격차를 더욱 확대할 수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혁신 솔루션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합니다.
한계점:
GitHub Copilot의 선택적 출시를 자연 실험으로 활용했으므로, 다른 LLM이나 개발 환경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날지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분석 대상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국한되어 있어, 다른 유형의 협업 환경으로의 일반화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LLM의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분석 방법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