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GitHub Copilot의 선택적 출시를 자연 실험으로 활용하여,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협업적인 오픈소스 개발 환경에서 혁신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새로운 역량 습득을 통한 가능성 탐색인 '역량 혁신'과 기존 역량 강화를 통한 프로젝트 질 개선인 '반복적 혁신' 두 가지 측면에서 LLM의 영향을 살펴봅니다. GitHub Copilot 출시 이후 전반적인 기여도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특히 유지보수 또는 기능 개선과 같은 반복적 혁신에 대한 기여가 역량 혁신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2022년 6월 모델 업그레이드 이후 이러한 차이는 더욱 두드러졌으며, 활발한 코딩 활동이 있는 프로젝트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LLM의 성능 향상과 문맥 정보 증가가 반복적 혁신과 역량 혁신 간의 격차를 확대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