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인도를 사례 연구로 활용하여, 지역 특화형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실제로 지역 문화적 가치와 관행을 반영하는지 평가했습니다. 5개의 인도 지역 LLM과 5개의 글로벌 LLM을 가치(Inglehart-Welzel 지도 및 GlobalOpinionQA 사용)와 관행(CulturalBench 및 NormAd 사용)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인도 지역 LLM이 글로벌 LLM보다 인도 문화적 규범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심지어 평균적인 미국인이 인도 문화적 가치를 인도 지역 LLM보다 더 잘 반영했습니다. 프롬프트 전략도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지역별 미세 조정은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기존 지식의 회상을 방해할 수도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실패의 원인으로 고품질의 번역되지 않고 문화적으로 기반을 둔 사전 훈련 및 미세 조정 데이터의 부족을 지적하며, 문화적 평가를 다국어 벤치마크와 함께 중요한 요구 사항으로 제시하고 개발자를 위한 재사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진정한 자주권을 가진 LLM을 구축하고 평가하려면 문화적으로 대표되는 데이터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