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LLMs are not Zero-Shot Reasoners for Biomedical Information Extrac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Aishik Nagar, Viktor Schlegel, Thanh-Tung Nguyen, Hao Li, Yuping Wu, Kuluhan Binici, Stefan Winkler

개요

본 논문은 의료 분야에서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성능을 의료 분류 및 명명된 개체 인식(NER) 과제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벤치마킹한 연구이다. BioMistral과 Llama-2 모델 등 다양한 오픈 LLM을 사용하여 표준 프롬프팅, 사고 연쇄(CoT), 자기 일관성 기반 추론, 그리고 PubMed 및 Wikipedia 코퍼스를 활용한 검색 증강 생성(RAG) 등 다양한 방법을 평가하였다. 의료 분류 및 NER 과제에서 LLM의 성능에 기여하는 요소, 특히 LLM의 과제 지식 및 추론 능력, (매개변수적) 도메인 지식, 그리고 외부 지식 추가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표준 프롬프팅이 CoT, 자기 일관성, RAG 등 복잡한 기법보다 의료 분류 및 NER 과제에서 일관되게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지식이나 추론 집약적인 과제를 위해 개발된 고급 프롬프팅 방법이 정확한 구조화된 출력이 필요한 생의학 과제에는 쉽게 적용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생의학 응용 분야에서 LLM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외부 지식과 추론 메커니즘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계점: 본 연구는 특정 오픈 LLM과 데이터셋에 국한되어 있으며, 다른 LLM이나 데이터셋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CoT, 자기 일관성, RAG 등의 기법을 최적화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