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UniTTS: An end-to-end TTS system without decoupling of acoustic and semantic inform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Rui Wang, Qianguo Sun, Tianrong Chen, Zhiyun Zeng, Junlong Wu, Jiaxing Zhang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Text-to-Speech(TT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중 코드북 중립 오디오 코덱(RVQ, GVQ 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DistilCodec과 UniTTS를 제안합니다. DistilCodec은 다중 코드북 오디오 코덱을 32,768개 코드의 단일 코드북 코덱으로 증류하여 거의 100%의 활용률을 달성합니다. 의미 정렬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다양한 고품질 비표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UniTTS는 DistilCodec의 포괄적인 오디오 정보 모델링을 활용하여 오디오, 텍스트, 음성-텍스트 간의 자기회귀 및 교차 모달 자기회귀를 통합한 사전 학습 프레임워크를 통해 텍스트와 음성/오디오 프롬프트를 모두 처리할 수 있습니다. UniTTS는 사전 학습, 지도 미세 조정, 정렬의 세 단계 학습 과정을 거칩니다. 소스 코드와 모델 체크포인트는 공개적으로 제공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다중 코드북 오디오 코덱의 한계를 극복하여 LLM 기반 TTS 성능 향상에 기여.
단일 코드북 코덱을 사용하여 효율성 증대 및 고품질 비표현 데이터 활용 가능.
다양한 모달리티의 정보를 통합하여 LLM의 텍스트 처리 능력 유지 및 확장된 기능 제공.
공개된 소스 코드와 모델 체크포인트를 통해 연구의 재현성 및 활용도 증가.
한계점:
제안된 방법의 성능이 다른 최첨단 TTS 시스템과 비교 분석되지 않음.
다양한 언어 및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일반화 성능 평가 부족.
실제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