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Probing the Vulnerability of Large Language Models to Polysemantic Interventions

Created by
  • Haebom

저자

Bofan Gong, Shiyang Lai, Dawn Song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신경망의 특징인 다의미성(polysemanticity)이 언어 모델의 해석성과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입니다. 소규모 모델(Pythia-70M, GPT-2-Small)을 이용하여 희소 자동 인코더를 활용, 다의미 구조를 분석하고, 프롬프트, 특징, 토큰, 뉴런 수준에서 표적화된 은밀한 개입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두 모델 모두 일관된 다의미 위상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 구조를 이용하여 대규모 블랙박스 지시 조정 모델(LLaMA3.1-8B-Instruct, Gemma-2-9B-Instruct)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함을 보였습니다. 이는 개입의 일반화 가능성과 아키텍처 및 훈련 방식에 걸쳐 지속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전이 가능한 다의미 구조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소규모 모델에서 발견된 다의미 구조가 대규모 모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다의미성이 모델 안전성에 대한 보편적인 위협임을 시사합니다.
다의미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준에서 효과적인 모델 개입 전략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모델 아키텍처와 훈련 방식에 걸쳐 안정적이고 전이 가능한 다의미 구조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한계점:
분석에 사용된 모델의 규모가 제한적이며, 더욱 다양하고 큰 모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다의미성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은밀한 개입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특정한 유형의 개입에 국한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