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Chatting with Papers: A Hybrid Approach Using LLMs and Knowledge Graphs

Created by
  • Haebom

저자

Vyacheslav Tykhonov, Han Yang, Philipp Mayr, Jetze Touber, Andrea Scharnhorst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지식 그래프를 결합하여 컬렉션 탐색을 지원하는 새로운 워크플로우인 GhostWriter를 소개한다.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RAG) 연구 분야에 속하는 GhostWriter는 로컬 및 적응형 챗봇 생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백엔드에 EverythingData 툴킷을 기반으로, GhostWriter는 컬렉션에 대한 질의 및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연구자가 논문 컬렉션과 상호 작용할 때 개요 파악, 특정 개념 및 그 맥락에 대한 자세한 학습, 연구 질문의 제어된 방식으로의 개선 등 정보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GESIS Leibniz-Institute for the Social Sciences에서 발행한 method data analysis 저널의 논문 컬렉션에 대한 워크플로우를 시연하고, 추가 적용 분야를 제시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과 지식 그래프를 결합하여 효과적인 컬렉션 탐색 워크플로우를 제공한다.
로컬 및 적응형 챗봇을 통해 연구자의 정보 요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한다.
연구 질문의 정제를 지원하여 연구 과정을 개선한다.
다양한 분야의 컬렉션에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계점:
EverythingData 툴킷에 의존적인 구조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저널의 논문 컬렉션에 대한 시연으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LLM 및 지식 그래프의 성능에 의존적이므로, 데이터 품질 및 모델 성능에 따라 결과의 정확성이 달라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