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심장 질환 진단 및 관리를 위한 심장 구조 및 운동 패턴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구통계학적, 인체측정학적, 질병 관련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심장 형태 및 운동 패턴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위해 조건부 생성 모델인 MeshHeart를 개발하여 좌심실과 우심실의 형태 및 운동 패턴 분포를 학습했습니다. MeshHeart는 기하학적 인코더를 사용하여 심장 메시를 잠재 공간에 표현하고, 시간적 Transformer를 사용하여 잠재 표현의 운동 역학을 모델링합니다. 38,309명의 대규모 심장 자기 공명 영상 데이터셋(UK Biobank)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 심장 메시 시퀀스 재구성 및 생성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잠재 공간 특징은 심장 질환 분류에 있어서 차별적이고, 잠재 델타는 표현형 연관 연구에서 임상 표현형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개발된 코드와 훈련된 모델을 공개하여 추가 연구를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