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을 빙자한 안부와 근황 
Show more

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Malware families discovery via Open-Set Recognition on Android manifest permissions

Created by
  • Haebom

저자

Filippo Leveni, Matteo Mistura, Francesco Iubatti, Carmine Giangregorio, Nicolo Pastore, Cesare Alippi, Giacomo Boracchi

개요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앱의 권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성코드(Malware)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기존의 머신러닝 기반 악성코드 분류는 고차원의 데이터와 제한적인 훈련 데이터로 어려움을 겪는데, 본 연구는 컴퓨터 비전 분야의 오픈셋 인식 기법인 MaxLogit과 고차원 데이터 분류에 효과적인 Gradient Boosting 분류기를 결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를 통해 알려진 악성코드 분류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의 탐지까지 가능하게 합니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분류 작업에 쉽게 통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계산 부하도 최소화합니다. 공개 및 비공개 데이터셋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였고,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도 배포되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고차원의 권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악성코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줌.
MaxLogit과 Gradient Boosting의 결합을 통해 기존 악성코드 분류 및 신종 악성코드 탐지가 가능함.
실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임을 증명.
한계점:
사용된 데이터셋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족. (공개 및 비공개 데이터셋의 특징, 규모 등)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 비교 대상 모델에 대한 명확한 설명 부족.
새로운 악성코드 탐지 성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지표가 부족할 수 있음.
MaxLogit과 Gradient Boosting의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