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Large Language Model Driven Recommendation

Created by
  • Haebom

저자

Anton Korikov, Scott Sanner, Yashar Deldjoo, Zhankui He, Julian McAuley, Arnau Ramisa, Rene Vidal, Mahesh Sathiamoorthy, Atoosa Kasrizadeh, Silvia Milano, Francesco Ricci

개요

본 논문은 기존의 구매, 조회, 클릭 등 표준화된 비언어적 사용자 피드백 기반 추천 시스템(RSs)에서 벗어나, 대규모 언어 모델(LLMs)을 활용한 자연어(NL) 기반 추천 시스템에 대해 논의한다. LLMs의 일반적인 NL 추론 능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미묘하고 다양한 선호도를 효과적으로 아이템과 연결하는 고도로 개인화된 RSs를 구축하는 새로운 기회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언어 기반 추천의 주요 데이터 소스(아이템 설명, 사용자-시스템 상호작용, 사용자 프로필) 분류 체계를 제시하고, LLMs 추천을 위한 기본 기법(튜닝 및 비튜닝 설정에서 인코더 전용 및 자동 회귀 LLM 추천 사용)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LLMs가 검색 엔진 및 RSs와 같은 구성 요소와 다단계 파이프라인에서 상호 작용하는 다중 모듈 추천 아키텍처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LLMs가 각 턴에서 추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선호도를 유도하고, 비판하고, 질문에 답변하는 다회전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대화형 추천 시스템(CRSs)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s를 활용한 자연어 기반 추천 시스템이 사용자의 미묘하고 다양한 선호도를 반영하는 고도로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아키텍처를 통해 향상된 추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대화형 추천 시스템(CRSs)을 통해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한계점: LLMs 기반 추천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평가가 부족하다.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아키텍처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LLMs의 편향성 및 설명 가능성 문제가 추천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의 CRSs 적용 및 확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