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Delving into RL for Image Generation with CoT: A Study on DPO vs. GRPO

Created by
  • Haebom

저자

Chengzhuo Tong, Ziyu Guo, Renrui Zhang, Wenyu Shan, Xinyu Wei, Zhenghao Xing, Hongsheng Li, Pheng-Ann Heng

개요

본 논문은 강화학습(RL)을 이용하여 자기회귀적 이미지 생성에서 사고연쇄(CoT)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대해 다룬다. 특히, Direct Preference Optimization (DPO) 와 Group Relative Policy Optimization (GRPO) 두 가지 RL 알고리즘을 자기회귀적 이미지 생성에 적용하여, 각 알고리즘의 성능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다양한 reward model의 영향을 평가한다. LLM 기반 CoT 추론과는 달리, 이미지 생성의 고유한 과제(텍스트-이미지 일관성, 미적 품질 향상, 정교한 reward model 설계 등)에 초점을 맞춰, 세 가지 확장 전략을 통해 도메인 내 및 도메인 외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GRPO와 DPO는 각기 다른 장점을 보이며, 일반화 능력이 뛰어난 reward model이 RL 알고리즘의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적 이미지 생성에서 강력한 CoT 추론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RL 알고리즘 개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DPO와 GRPO 알고리즘의 자기회귀적 이미지 생성 분야 적용 및 성능 비교 분석을 최초로 제시.
다양한 reward model이 RL 알고리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
일반화 능력이 강한 reward model이 RL 알고리즘의 일반화 성능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
도메인 내외 성능 향상을 위한 세 가지 확장 전략 제시 및 각 전략의 효율성 분석.
자기회귀적 이미지 생성에서 강력한 CoT 추론을 위한 효과적인 RL 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
한계점:
본 연구에서 제시된 세 가지 확장 전략 외 다른 확장 전략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이미지 생성 태스크에 대한 추가 실험 필요.
제안된 방법의 범용성 및 다른 모달리티(예: 비디오)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