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Hacking, The Lazy Way: LLM Augmented Pentesting

Created by
  • Haebom

저자

Dhruva Goyal, Sitaraman Subramanian, Aditya Peela, Nisha P. Shetty

개요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침투 테스트 워크플로우에 통합하여 윤리적 해킹 분야에 혁신을 가져오는 "LLM 증강 침투 테스트"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GPT-4-turbo 모델을 활용한 "Pentest Copilot"이라는 도구를 통해, 기존 침투 테스트의 자동화 저항을 극복하고 특정 하위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테스트 프로세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Pentest Copilot은 테스트 도구 활용, 출력 해석, 후속 조치 제안과 같은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자동화 시스템과 인간 전문 지식 간의 간극을 효율적으로 해소한다. "사고의 연쇄" 메커니즘을 통합하여 토큰 사용을 최적화하고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향상시켜 더 정확하고 상황에 맞는 출력을 생성한다. 또한, 검색 증강 생성(RAG)을 구현하여 환각을 최소화하고 도구가 최신 사이버 보안 기술 및 지식과 일치하도록 한다. 브라우저 기반 침투 테스트를 지원하는 고유한 인프라 시스템도 강조하며, 이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에게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는 LLM 증강 침투 테스트가 침투 테스트의 작업 완료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사이버 보안 분야의 상당한 발전을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을 활용한 침투 테스트 자동화를 통해 작업 효율성 및 정확성 향상.
GPT-4-turbo 기반 Pentest Copilot 도구를 통해 자동화와 인간 전문성 간의 격차 해소.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적용으로 환각 현상 최소화 및 최신 지식 반영.
브라우저 기반 인프라 시스템 제공으로 접근성 및 편의성 증대.
사이버 보안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 및 실제 문제 해결에 대한 기여.
한계점:
논문에서 Pentest Copilot의 구체적인 성능 평가 지표 및 실험 결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 부족.
LLM 기반 시스템의 취약성 및 보안 위협에 대한 분석 부족.
대규모 데이터셋 및 다양한 환경에서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
윤리적 문제 및 오용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논의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