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Efficient Shapley Value-based Non-Uniform Pruning of Large Language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Chuan Sun, Han Yu, Lizhen Cui, Xiaoxiao Li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크기와 계산 복잡도를 줄이면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층별 가지치기 방법을 제안합니다. 기존의 균일한 가지치기 방식은 모든 층에 동일한 희소성을 적용하여 각 트랜스포머 층의 중요성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hapley Value를 기반으로 각 층의 기여도를 정량화하여 각 층에 맞춤형 가지치기 비율을 할당하는 Shapley Value 기반 비균일 가지치기(SV-NUP) 방법을 제안합니다. 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Sliding Window 기반 Shapley Value 근사 방법도 함께 제시합니다. LLaMA-v1, LLaMA-v2, OPT 등 다양한 LLM에 대한 실험을 통해 SV-NUP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비균일 가지치기가 가지치기된 모델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70% 희소성에서 SparseGPT와 비교하여 LLaMA-7B와 LLaMA-13B에 대해 각각 18.01%와 19.55%의 perplexity 감소를 달성했습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의 효율적인 가지치기를 위한 새로운 방법인 SV-NUP 제시.
비균일 가지치기를 통해 기존 균일 가지치기보다 성능 향상.
Sliding Window 기반 Shapley Value 근사 방법을 통해 계산 효율 증대.
다양한 LLM에서 실험을 통해 SV-NUP의 우수성 검증.
한계점:
Shapley Value 계산의 복잡성으로 인한 계산 비용 문제 (Sliding Window 기법으로 일부 해결되었으나, 여전히 한계 존재 가능성).
제안된 방법의 다른 가지치기 기법(예: 다른 비균일 가지치기 기법)과의 비교 분석 부족.
특정 LLM에 대한 실험 결과이므로 다른 모델이나 작업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 검토 필요.
Sliding Window 기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성능 변화에 대한 분석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