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Embracing Contradiction: Theoretical Inconsistency Will Not Impede the Road of Building Responsible AI Systems

Created by
  • Haebom

저자

Gordon Dai, Yunze Xiao

개요

본 논문은 책임있는 AI(RAI) 지표들 간의 이론적 불일치(예: 상이한 공정성 정의, 정확도와 프라이버시 간의 상충 관계)를 제거해야 할 결함이 아닌, 귀중한 특징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입장 논문입니다. 저자들은 여러 지표를 상반된 목표로 다룸으로써 세 가지 주요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첫째, 규범적 다원주의: 상반될 수 있는 여러 지표를 유지함으로써 RAI에 내재된 다양한 도덕적 입장과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인식론적 완전성: 때때로 상충하는 여러 지표를 사용하면 다면적인 윤리적 개념을 더 포괄적으로 포착하여 단일의 단순화된 정의보다 더 큰 정보 충실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셋째, 암묵적 규제: 이론적으로 상충하는 목표를 함께 최적화하면 특정 지표에 대한 과적합을 방지하고 실제 세계의 복잡성 속에서 향상된 일반화 및 강건성을 가진 솔루션으로 모델을 유도합니다. 반대로, 지표를 단순화하거나 제거하여 이론적 일관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가치 다양성을 좁히고, 개념적 깊이를 잃고, 모델 성능을 저하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자는 RAI 이론 및 실제에서 불일관성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허용 가능한 불일관성 임계값을 특징짓고 실제로 강력하고 근사적인 일관성을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RAI 지표 간의 불일치를 장점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윤리적 관점과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여러 지표를 통해 윤리적 개념에 대한 더욱 포괄적이고 정확한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상충하는 지표들을 함께 최적화하여 모델의 과적합을 방지하고 일반화 성능 및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RAI 연구 및 개발에 있어 불일치를 관리하고 허용 가능한 수준을 정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한계점:
불일치의 허용 가능한 수준을 정의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실제 응용에 있어 상충하는 지표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합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조율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논의가 미흡합니다.
제시된 이론적 주장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