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Legal Compliance Evaluation of Smart Contracts Generated By Large Language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Chanuka Wijayakoon, Hai Dong, H. M. N. Dilum Bandara, Zahir Tari, Anurag Soin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여 자연어로 작성된 법적 계약서로부터 법적으로 준수하는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기존의 형식적 명세, 검증, 모델 기반 개발 방식은 법률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과 많은 수작업을 필요로 하지만, LLM의 코드 생성 능력 발전을 고려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법적 계약과 스마트 계약을 모두 프로세스로 모델링하고 그 행위를 비교하여 법적 준수성을 정량화하는 새로운 지표를 제안하고, 4개의 LLM을 선택하여 5개의 법적 계약을 기반으로 20개의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여 법적 준수성을 분석합니다. 분석 결과, 모든 LLM이 구문상으로 올바른 코드를 생성하지만 법적 준수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큰 모델이 더 높은 수준의 준수성을 보임을 확인합니다. 또한 제안된 지표를 소프트웨어 지표의 속성과 비교 평가하여, 세분화된 구분을 제공하고, 뉘앙스 있는 비교를 가능하게 하며, LLM이나 개발자의 코드에 관계없이 모든 도메인에 적용 가능함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LLM은 엄격한 검토를 거친 법적으로 준수하는 스마트 계약의 초기 코드 생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제안된 지표는 자동화되고 자체적으로 개선되는 개발 워크플로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을 이용하여 자연어 법적 계약서로부터 스마트 계약 생성 가능성 제시
법적 준수성을 정량화하는 새로운 지표 제안 및 유용성 검증
대규모 모델이 더 높은 법적 준수성을 보임을 확인
자동화된 스마트 계약 개발 워크플로 구축 가능성 제시
한계점:
생성된 스마트 계약의 법적 준수성에 대한 완벽한 보장은 어려움 (엄격한 검토 필요)
제안된 지표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다양한 유형의 법적 계약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 필요
LLM의 한계로 인한 법적 오류 발생 가능성 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