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Benign-to-Toxic Jailbreaking: Inducing Harmful Responses from Harmless Prompts

Created by
  • Haebom

저자

Hee-Seon Kim, Minbeom Kim, Wonjun Lee, Kihyun Kim, Changick Kim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비전-언어 모델(LLVM)의 안전성 취약점을 공격하는 새로운 방법인 'Benign-to-Toxic (B2T)' jailbreak을 제안합니다. 기존의 Toxic-Continuation 방식은 이미 유해한 입력을 계속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명시적인 유해 신호가 없는 경우 안전성 위반을 유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B2T jailbreak은 무해한 조건(benign conditioning)에서 유해한 출력을 유도하도록 적대적 이미지를 최적화합니다. 이는 무해한 입력만으로 모델의 안전 메커니즘을 깨뜨려야 하므로, 기존 방법보다 강력한 공격이 가능합니다. 블랙박스 환경에서도 효과적이며, 텍스트 기반 jailbreak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연구는 다중 모달 정렬의 미탐색 취약성을 밝히고 jailbreak 접근 방식에 대한 근본적으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기존 Toxic-Continuation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B2T jailbreak 방식 제시
다중 모달 모델의 안전성 취약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방법 제시
블랙박스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robust한 jailbreak 방법 제시
텍스트 기반 jailbreak과의 상호 보완을 통한 더욱 강력한 공격 가능성 제시
다중 모달 모델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향 제시
한계점:
B2T jailbreak의 일반화 성능 및 다양한 모델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실제 세계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및 위험성에 대한 고려 필요
제안된 방법에 대한 방어 기법 개발 및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