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An Interpretable Representation Learning Approach for Diffusion Tensor Imaging

Created by
  • Haebom

저자

Vishwa Mohan Singh, Alberto Gaston Villagran Asiares, Luisa Sophie Schuhmacher, Kate Rendall, Simon Wei{\ss}brod, David Rugamer, Inga Korte

개요

본 논문은 확산텐서영상(DTI) 섬유속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해석하기 위한 새로운 2D 표현법을 제안합니다. DTI 섬유속도의 tract-level fractional anisotropy (FA) 값을 9x9 흑백 이미지로 인코딩하고, Beta-Total Correlation Variational Autoencoder와 Spatial Broadcast Decoder를 사용하여 얽히지 않고 해석 가능한 잠재적 임베딩을 학습합니다. 보조 분류, triplet loss, SimCLR 기반 대조 학습 등의 지도 및 비지도 표현 학습 전략을 사용하여 임베딩의 질을 평가합니다. 1D Group DNN 기준 모델과 비교하여 성별 분류 작업에서 F1 점수를 15.74% 향상시켰으며, 3D 표현보다 더 나은 분리 성능을 보입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DTI 섬유속도 데이터의 효과적인 2D 표현 방법 제시
Beta-Total Correlation Variational Autoencoder와 Spatial Broadcast Decoder를 활용한 잠재적 임베딩 학습 성공
성별 분류 작업에서 기존 1D DNN 모델 대비 성능 향상 (F1 score 15.74% 증가)
3D 표현보다 우수한 잠재 변수 분리 성능 확인
한계점:
제안된 방법의 성능 평가가 성별 분류 작업에만 국한됨. 다른 downstream task에 대한 일반화 성능 검증 필요.
9x9 이미지 크기 고정. 다양한 해상도의 DTI 데이터에 대한 적용성 검토 필요.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의 생물학적 타당성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