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MRT at SemEval-2025 Task 8: Maximizing Recovery from Tables with Multiple Steps

Created by
  • Haebom

저자

Maximiliano Hormazabal Lagos, Alvaro Bueno Saez, Hector Cerezo-Costas, Pedro Alonso Doval, Jorge Alcalde Vesteiro

개요

본 논문은 SemEval 2025 Task 8 (표 형태 데이터에 대한 질의응답) 챌린지에 대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LLM을 활용한 Python 코드 생성을 통해 표와 상호 작용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얻는 전략을 사용한다. 표 내용 이해, 답을 얻기 위한 단계별 자연어 명령 생성, 명령어를 코드로 변환, 코드 실행 및 오류 처리 등 여러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 대해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오픈소스 LLM을 활용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Subtask 1에서 70.50%의 점수를 달성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 기반 코드 생성을 통해 표 형태 데이터 질의응답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줌. 다양한 단계를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전략의 효용성을 제시함. 오픈소스 LLM을 활용하여 접근성을 높임.
한계점: Subtask 1에 대한 결과만 제시되어 다른 Subtask에 대한 성능은 알 수 없음. 사용된 LLM 및 프롬프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부족. 오류 처리 및 예외 처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족. 다른 접근 방식과의 비교 분석이 부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