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Scaling Reasoning can Improve Factuality in Large Language Models

Created by
  • Haebom

저자

Mike Zhang, Johannes Bjerva, Russa Biswas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추론 능력, 특히 수학적 추론을 넘어 사실적 정확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다룬다. 복잡한 개방형 질의응답(QA) 시나리오에서 LLM의 추론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QwQ-32B 및 DeepSeek-R1-671B와 같은 대규모 추론 모델에서 추론 과정을 추출하고, 크기가 다른 여러 모델들을 미세 조정하였다. 지식 그래프로부터 사실 정보를 추론 과정에 추가하여 추론 과정을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6개의 데이터셋(총 22,600개 이상의 질문)을 사용하여 168번의 실험을 진행, 약 170만 개의 추론 과정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작은 추론 모델에서도 사실적 정확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었으며, 테스트 시간 계산 및 토큰 예산을 추가함으로써 사실적 정확도가 2~8%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여 테스트 시간 스케일링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는 공개하였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테스트 시간 스케일링(test-time scaling)을 통해 개방형 질의응답(QA) 과제에서 LLM의 추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줌.
작은 추론 모델에서도 사실적 정확도 개선이 가능함을 확인.
지식 그래프를 활용한 추론 과정 풍부화가 효과적임을 시사.
모든 실험 결과를 공개하여 추가 연구를 촉진.
한계점:
본 연구는 특정 모델과 데이터셋에 국한되어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
추론 과정의 풍부화에 사용된 지식 그래프의 질과 완전성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다양한 유형의 질문과 추론 과제에 대한 추가 실험이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