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Arxiv

전 세계에서 발간되는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정리하는 페이지 입니다.
본 페이지는 Google Gemini를 활용해 요약 정리하며, 비영리로 운영 됩니다.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 및 해당 기관에 있으며, 공유 시 출처만 명기하면 됩니다.

FRABench and GenEval: Scaling Fine-Grained Aspect Evaluation across Tasks, Modalities

Created by
  • Haebom

저자

Shibo Hong, Jiahao Ying, Haiyuan Liang, Mengdi Zhang, Jun Kuang, Jiazheng Zhang, Yixin Cao

개요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개방형 출력 평가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계층적 측면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벤치마크 FRABench와 평가자 GenEval을 제안합니다. FRABench는 자연어 생성, 이미지 이해, 이미지 생성, 텍스트 및 이미지 결합 생성 등 네 가지 설정에 걸쳐 112가지의 세분화된 측면을 포함하는 60,400개의 쌍 비교 샘플과 325,000개의 평가 레이블로 구성됩니다. 인간 및 LLM 주석을 결합하여 생성된 이 데이터셋은 다양한 모달리티를 지원하는 대규모 다중 모달 자원을 제공하며, GenEval은 이를 활용하여 작업 및 모달리티에 일반화 가능한 세분화된 평가자를 개발합니다. GenEval은 GPT-4o 및 전문가 주석자와 높은 일치율을 보이며, 새로운 작업과 모달리티에도 강력하게 적용되고, 기존 LLM의 체계적인 약점을 드러냅니다.

시사점, 한계점

시사점:
LLM 출력 평가의 일반화 및 객관성을 위한 세분화된 측면 명세의 중요성을 제시합니다.
다양한 모달리티를 지원하는 대규모 다중 모달 평가 벤치마크 FRABench를 제공합니다.
작업 및 모달리티에 일반화 가능한 세분화된 LLM 평가자 GenEval을 개발합니다.
GenEval을 통해 기존 LLM의 체계적인 약점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
한계점:
FRABench의 품질은 사용된 인간 및 LLM 주석의 정확성에 의존하며, 주석의 편향이나 오류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GenEval의 일반화 성능은 FRABench의 다양성과 대표성에 의존하며, 새로운 유형의 LLM이나 작업에 대한 성능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112가지의 세분화된 측면은 관리 및 활용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GPT-4o 및 전문가 주석자와의 높은 일치율이 모든 상황에서 유지될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