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rket : 시장과 데이터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법
🎯 핵심 요약 (TL;DR) AI가 모든 것을 자동화해준다는 환상 속에서, 많은 기업들이 실제로는 AI 도구 비용만 지불하고 수익은 내지 못하는 함정에 빠지고 있습니다. MIT 연구에 따르면 기업들의 생성형 AI 파일럿 프로젝트 중 95%가 실패하고, 한국 기업의 AI 도입 실패율도 80%에 달합니다. 2025년 GTM(Go-to-Market) 전략의 핵심은 화려한 도구가 아닙니다. 시장의 실제 목소리와 데이터 사이의 간극을 찾아내고, AI를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지 판단하는 역량입니다. 특히 성장 정체기나 초기 단계의 기업에서 이 역량은 생존을 결정짓는 요소가 됩니다. 📉 2025년, 살얼음판을 걷는 한국 스타트업 2025년 1분기, 한국 스타트업 투자 시장의 냉기가 매섭습니다. 투자 건수는 전년 대비 24% 감소했고, 투자 금액도 4% 줄었습니다. 창업자의 64.8%, 투자자의 58.9%가 지난해보다 상황이 악화됐다고 진단합니다. "혹한기", "투자 겨울" 같은 표현이 일상적으로 들립니다. 이런 환경에서 많은 기업들이 돌파구로 주목하는 것이 바로 AI 기반 GTM 자동화입니다. "AI로 영업을 자동화하면 적은 인력으로도 10배 성장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곳곳에서 들립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요? 🚨 충격적인 진실: AI 도입의 95%가 실패한다 MIT의 최근 연구는 충격적인 사실을 드러냅니다. 기업들의 생성형 AI 파일럿 프로젝트 중 95%가 실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국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미국 싱크탱크 랜드(RAND) 연구소에 따르면, 한국 기업의 AI 도입 실패율이 80%에 달합니다. 10개 기업이 AI를 도입하면 8개가 실패한다는 뜻입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 문제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AI 도구를 샀다고 해서 자동으로 수익이 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AI 회사만 돈 버는 상황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겪는 상황을 살펴볼까요? 상황 1: 도구만 쌓이는 회사 제가 만나보았던 한 B2B SaaS 스타트업 이야기입니다. 데이터 수집용 도구, 이메일 자동화 도구, CRM 통합 도구... 월 구독료만 500만 원이 넘습니다.(환율 탓도 있습니다.) AI가 하루에 1,000개의 리드를 생성합니다 영업팀은 이 리드들에게 "AI가 개인화했다"는 이메일을 보냅니다 결과는? 응답률 0.3%, 6개월간 계약 성사 2건 계약 단가가 1천만 원이니, 6개월간 매출은 2천만 원입니다. AI 도구 비용만 3천만 원을 썼으니 손해입니다. 여기에 직원 인건비까지 더하면... 결국, AI 도구 회사만 돈을 벌었습니다. 상황 2: 데이터에 빠진 회사
- Haeb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