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t으로 MVP 제작: YouTube 요약 서비스 #4
추가 개선사항 3부 이후 개선 작업들을 기록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구조 개선 배포 후 가장 먼저 체감한 문제는 확장성 부족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채널에 카테고리 값을 enum으로 직접 넣었는데, 카테고리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마다 불편함이 컸습니다. 카테고리 테이블을 별도로 분리하면서 관리가 훨씬 수월해졌습니다. 영상 수집 로직의 함정 영상 수집 부분을 개선하려고 에이전트에게 계속 요청했더니 오히려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이 반복됐습니다. 특히 사람처럼 불완전한 개선을 시도하다가 특정 채널의 최근 영상을 빼먹는 일이 자주 발생했습니다. 결국 모든 채널을 정상적으로 가져오는지 직접 검토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잘 안되는걸 파고들다가 코드가 꼬이는 쓸데 없이 사람이랑 비슷한 부분이 있다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비용 최적화: Gemini로 전환 오디오 파일에서 스크립트를 추출하는 작업을 기존 서비스에서 Gemini로 변경했습니다. OpenAI만 API로 제공하는줄 알았는데 Gemini도 기본으로 제공해주고 있었습니다. 빠르게 Perplexity로 가격비교 요청 후 Gemini로 교체했습니다. 가격은 좀 더 저렴했고, 교체 과정도 생각보다 빨랐습니다. 속도도 조금 더 빨라진 것 같아(기분?) 만족스러운 결정이었습니다. 첫 공개와 반응 geeknews에서의 성과 감사하게도 geeknews에 공유했을 때 긍정적인 반응을 받았습니다. 하루 만에 1,300건의 방문과 60건의 가입이 있었습니다. 이후 다음날에는 400건 이상 방문해 마음속의 목표인 DAU 100을 2일간 만끽했습니다. 댓글에서 RSS XML 기능 추가 요청을 받았는데, 즉시 rss.xml 파일을 생성하고 새로운 피드가 추가될 때마다 자동 업데이트 되도록 설정 했습니다. https://shortv.replit.app/rss.xml 많은 응원 보내주신 geeknews 분들에게 감사 드립니다 :) Replit에서 제공하는 analytics는 간단히보기는 좋지만 분석할만큼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차후에 GA를 붙여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Pok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