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적인 커피 재배와 기후 조건에서 생산된 아주 뛰어난 품질의 생두로부터 만들어진 커피로 재배지역의 특징적인 플레이버를 가지고 있음. SCAA의 스페셜티 기준에 부합하며 커핑점수 80점 이상을 받아야함* COE (Cup of Excellence) : 커핑점수 84점 이상. 커피산지 11개 회원국에서 매년 시행하는 커피 품질 대회이자 경매
커피원산지
•
브라질
◦
주로 내추럴, 중성적인 커피, 좋은 바디와 단맛
•
콜롬비아
◦
주로 워시드, 마일드 커피의 대명사
•
멕시코
◦
산미 있고, 부드럽고 마시기 편한 커피
•
과테말라
◦
대표산지 안티구아
◦
부드러우면서 강한 바디, 스모크향
•
코스타리카
◦
대표적인 커피 코스타리카 따라주(Tarrazu)
◦
로부스타 재배를 법으로 금지
◦
바디 강한편, 상큼한 신맛, 밸런스 잘 잡혀있음
•
엘살바도르
◦
오랜 내전으로 커피산업 많이 발전하지 못함
◦
균형이 잘 잡혀있고, 부드러운 신맛과 달콤한 향미
•
파나마
◦
10~20만 Bag 사이로 소량생산
◦
게이샤 품종으로 유명
◦
주요산지 보케테
•
자메이카
◦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부드럽고 다향한 향, 균형이 매우 잘 잡힌 커피
•
인도네시아
◦
대부분 로부스타
◦
최대산지 수마트라, 만델링이 유명
◦
코피 루왁
•
하와이
◦
하와이 코나 커피
◦
세계 3대 커피 : 하와이 코나 /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 예멘 모카 마타리
•
에티오피아
◦
대표산지 : 예가체프, 시다모, 하라, 리무
◦
신맛이 좋고 풍부한 아로마, 과일향미
•
케냐
◦
아프리카 커피 중 품질관리 가장 뛰어남
◦
스콧 연구소 : 현 케냐 국립 농업연구소
•
탄자니아
◦
킬리만자로 커피
◦
강한 신맛, 개성 있는 맛과 향, 중간 정도의 바디
커피의 명칭 : 생산국가 + 지역 + 등급 + 가공방법 예 :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G2 내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