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Sign In

feed

주식하는_토니
2024.05.25. 비만약은 3년 내에 국내에서 출시하는 것이 목표..
한미약품은 2023년 4월에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한국형 비만약으로 개발하겠다고 결정..
2023년 7월에 식약처에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서(IND) 제출..
현재 GLP-1 계열의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임상 3상 진행 중..
2026년 상반기에 임상을 완료하고, 3년 내에 국내에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23. 임상 3상 진행중인 비만치료제..
한미약품은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한국인의 비만 기준에 맞춘 비만약으로 개발 중..
에페글레나타이드는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얄 약물..
체내에서 인슐린 분비와 식욕 억제를 돕는 GLP-1호르몬의 유사체로 작용..
2015년에 진행된 글로벌 임상 3상에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 효력 등을 확인..
현재 국내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 진행 중..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23. 여전히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CDMO 사업..
2018년에 12,500리터 규모의 CDMO 생산기지인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완공
롤모델은 저분자화합물 CDMO에 주력하고 있는 론자..
저분자화합물 CDMO는 동물세포가 아닌 미생물을 배양해 의약품을 생산하는 방식..
동물세포를 활용한 항체의약품 CDMO보다 진입장벽은 높지만, 생산 시간을 단출 시킬 수 있음..
아직 가동률이 높지 않아 연간 700억원의 손실 발생..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18. 호중구감소증 치료제인 롤베돈의 미국 판매 현황..
한미약품은 호중구감소증 치료제인 롤베돈을 개발..
국내에서는 2021년 3월에 허가받았고, 미국에서는 2022년 9월에 품목허가를 받음..
롤베돈의 미국에서 2024년 1분기 매출액 1,450달러 기록..
롤베돈은 2022년 10월에 미국에서 출시한 이후 누적 매출 8,020만달러 기록..
롤베돈의 미국 매출액 추이..
2022년 4분기 1,010만달러..
2023년 1분기 1,560만달러 → 2분기 2,100만달러 → 3분기 800만달러 → 4분기 1,100만달러..
2024년 1분기 1,450만달러..
2023년 4월에 미국 공공보험 환급 대상에 등재됐지만, 출시 초기에 적용된 환급 시스템 대비 불리한 조건으로 알려짐.. 결국 2023년 3분기에 매출이 감소한 듯..
업데이트된 상업화 전략으로 신규 거래처를 확보하면서 매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중..
파트너사인 어썰티오는 롤베돈은 당일 투약 적응증 확보를 위해 임상 1상 환자 등록을 완료..
당일 투약이 가능해지면 환자 입장에서 입원일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음..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13. 비만 신약후보물질인 HM15275, 미국 FDA로부터 임상 1상 진행 승인..
한미약품은 GLP-1 · GIP · 글루카곤이 동시에 작용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
현재 GLP-1 · GIP 이중 작용제로 젭바운드가 출시된 상황..
글루카곤까지 포함하는 3중 작용제는 상용화된 제품이 없음..
2024년 6월에 예정된 ADA 024에서 HM15275의 전임상 연구 결과 4건을 공개할 예정..
ADA 2024 : 미국당뇨병학회 연례학술대회
한미약품은 비만 신약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H.O.P 프로젝트를 가동 중..
이 프로젝트에서 개발하고 있는 비만체료제는 4개..
- 근손실 최소화 · 요요현상 억제 비만치료제..
- 폭식 등 섭식장애 개선 비만치료제..
- GLP-1 경구용 비만치료제..
- 비만 예방관리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치료제..
이 중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는 2023년 10월에 임상 3상을 승인 받음..
에페글레나타이드는 2015년에 사노피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가 2020년에 반환된 후보 물질..
한미약품은 에페글레나타이드를 GLP-1 계열 비만치료제로 개발해 2026년 상용화가 목표..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13.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인 에페거글루카곤의 개발 현황..
에페거글루카곤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시장규모는 2030년 기준 6억 7,500만달러 수준..
현재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로 디아족사이드만 승인을 받은 상황..
에페거글루카곤은 2021년 10월부터 글로벌 임상 2상 진행 중..
국내 임상을 추가하기 위해 2024년 1월에 식약처에 IND 승인 받음..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08. IDMC가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의 임상 2상을 지속 진행하도록 권고..
IDMC는 진행 중인 임상에서 환자의 안전과 약물 효능 등을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곳..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는 GLP-1 · GIP · GCG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 바이오 신약..
미국 FDA는 2020년 7월에 이포시페그트루타이드를 MASH 치료를 위한 패트트트랙 개발 의약품으로 지정..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글로벌 임상 2b상을 진행 중..
2024년 말에 미국간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초록을 제출할 예정..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07. 비만 치료제인 HM15275 미국 FDA로부터 임상 1상 IND 승인을 받음..
HM15275는 GLP-1 · GIP · GCG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제..
HM15275는 국내에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는 에페글레나타이드에 이은 비만 신약..
2024년 6월에 예정된 ADA 2024에서 4건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02.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리뷰..
2024년 1분기 실적 리뷰..
매출액 4,037억원, 전년동기대비 11.8% 증가, 전기대비 4.4% 감소..
영업이익 766억원, 전년동기대비 27.8% 증가, 영업이익률 19%..
국내 원외처방 및 해외매출의 견조한 성장..
북경한미는 2023년 하반기에 유행한 폐렴과 2024년 1분기에 유행한 독감에 따른 매출 증가..
주요 품목인 로수젯과 아모잘탄패밀리는 장기 처방되는 만성질환 의약품으로 의료 파업의 영향이 적음..
비만치료제인 LA-TRIA는 국내 및 미국 임상 진입을 위한 IND 신청 완료..
설치류 전임상 효능은 6월 미국당뇨학회에서 공개될 예정..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진행 중..
에피노페그튜다이드(LAPSdual agonist)는 파트너사인 MSD에서 MASH 임상2b상을 진행 중..
2020년 8월에 MSD에 1조원 규모로 라이센스 아웃..
2025년에 임상을 완료할 예정..
MSD와 임상 3상 시료 공급 계약 논의 중 → 바이오플랜트 수익성 개선과 추가 매출 기대..
BH3120과 키트루다의 병용 임상 1상 진행 → MSD와 키트루다 공급 계약 체결..
로슈는 벨베라페닙의 개발을 중단..
벨베라페닙은 한미약품이 2016년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에 기술이전한 RaF 저해제..
기술 반환에 대한 내용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
한미약품, 하이투자증권, 2024.05.02.pdf926.60KB
Reaction
Comment
Share
주식하는_토니
2024.05.02. 유진투자증권 리서치 리뷰..
MASH 치료제인 MK6024는 2020년 Merck에게 기술 이전, 글로벌 임상 2b상 진행 중..
2025년에 임상 결과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
한미약품, 유진투자증권, 2024.05.02.pdf1.03MB
Reaction
Comment
Share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