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서비스 기획

이번에도 망한 부스 모바일 앱 서비스를 기획하는 곳
PMF 다시 찾기
배경 최근에 취업 준비로 포스팅이 없었다. 생각보다 구직활동에 준비해야 할 게 많아 당황스러웠다. 그래도 어떻게든 필요한 포플도 만들고 작성한지 오래된 이력서를 꺼내 새로운 버전으로 작성하다 그동안 있었던 일들을 기억속에서 꺼내고 작성하는게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아무튼! 현재도 열심히 구직 활동 중이다. 바로 어제 정말 가고 싶은 회사 면접을 끝내고 (정말 오랜만에 느껴보는 긴장감...... ㅜㅜ) 구직활동 Round 2를 준비하기 전 밀려있던 BOOTH 작업을 처리해볼려고 한다. 지난번 까지 GA에 대한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이건 나중에 따로 포스팅 할 예정이고 오늘은 더 중요한 홈 개편 자동화에 대해 작성할려고 한다. 도대체 왜!!! 또 홈 화면을 개편하냐????? 자동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홈 화면 메인 영역은 Firebase Remote Control 로 운영중인데 6개월 사용해보니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메인 영역에 하나의 콘텐츠 (타입이 3개 정도 있는데 걍 콘텐츠라 하겠다) 배포 프로세스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자. Content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reseach by types Define content concept Find cover desing ref If Album content → Find more inforamtion about Album Playlist tracks → Find tracks Article → Scripting Design Album → Find good resolution album image Playlist cover Article cover
  • 창업가필립
GA 4탄 맞춤정의 및 이벤트 정리해보기
필요한 수집 목록을 정리했고 코드도 심었다. DebugView 에서 두 플랫폼(iOS & Android) 모두 수집되는걸 확인했다. 이제 테스트 해야하는건 이벤트 수집이 실제로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벤트 수집은 "맞춤정의"에 등록해줘야 한다. GA는 기본적으로 특정 데이터를 보고서에서 확인한다 라고 설정한 항목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표시 한다고 한다. "맞춤정의" 는 설정에 들어가면 있다. 설정에 들어가는데 없다면 설정 → 데이터 표시 탭 안에 있으니 확인해보자. 맞춤 축정기준 탭에서 "맞춤 측정기준 만들기" 버튼으로 맞춤정의를 만들어주면 된다. 최하단에 storeProductListPage_product_name 맞춤 이벤트를 등록했다. 수집하는 변수는 product_name. 상품 이름을 수집한다. 맞춤정의를 만들다 보니 수집하는 변수가 어떤 이벤트에 연결되었는지 헷갈려 한번 정리가 필요했다. 이벤트 목록을 구글시트에 정리하고 맞춤 측정기준을 만들때 더블체크용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맞춤 측정기준을 만들면 1~2 일 소요가 된다. 그러니 해당 코드가 입력된 기기로 빌드해서 product_name을 잘 수집하는지 테스트를 해봐야한다. 1~2일 후 테스트 결과를 포스트에 추가하도록 하자!
  • 창업가필립
GA 3탄 이벤트 이름 Rule 만들기
GA eventLog를 수집을 위해 네이밍이을 해야하는데 Rule이 필요해 보인다. 3주 전 debug view 테스트 때 심어논 이벤트 코드 중 커뮤니티 스토어 상품을 탭 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 인데 지금 와서 보니 너무 헷가린다. 이벤트 이름 'communityStoreListPage' 는 확실히 이벤트 상황과 맞지 않는다. 그때 그때 맞는 이름을 작성할 수 도 있지만 Rule을 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게 더 좋겠다. (앞으로 계속 늘어날테니...) 이벤트 정의 우리가 만든 homeGaEvent 함수는 두 개의 값을 필수로 받고 있다. String 타입의 'eventName' Map 타입의 Parameter eventName 은 Page 로 구분하는게 좋겠다. 유저가 어느 화면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네이밍 한다. 다트파일 페이지 이름과 동일하게 작성 및 관리 하면 좋겠지만 Rule 베이스가 아니므로 패스 (그러니깐 모든 미리 기획하고 서로 상의 후 만들어야 한다 ㅠㅠ) 위에 코드를 예로 들어 {pageName}+"Page" = communityStorePage 페이지이름과 Page 를 붙혀 사용한다. 레터링은 카멜케이스로 처리한다. 이벤트 이름으로 유저가 어느 화면에 있는지 알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유저가 home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서 행동 했다면 어떻게해야 할까? Page 보다는 Area 가 더 맞을거 같다. 정리 해보자면 homeNewsPage = 유저가 홈 뉴스 탭에 있다는 뜻
  • 창업가필립
GA 2탄 debug view iOS 확인하기
한달 정도 포스팅을 하지 못했는데 (작업을 못함) 몸 상태가 진짜 너무 안좋았다(엘베에서 한번 기절, 집앞에서 다시 기절 😱) 잠깐에 휴식기를 갖고 상태가 괜찮다 싶을때 외주 일 하나가 들어와 작업 끝내고 나니 추석이다 ㅋㅋ 추석 연휴 오히려 좋다 집에서 맛난거 먹으며 작업 할 수 있으니... 하지만 이번 추석은 땡이 큰 수술이 잡혀 이놈 케어할려면 작업이 어려울거 같았다. 수술 6일이 지난 오늘 회복력이 좋아 나도 밀린 작업을 오전 부터 해본다... 지난번에 어디까지했더라? GA! 그렇다. 부스를 설계할 당시 firebase GA 활성화 코드는 이미 작성해두었고, 이벤트 수집은 안하고 있었다. 기본 이벤트 코드를 확인하고 플러터에 적용하기 위한 코드를 구글링 했다. 파이어베이스 애널리틱스 에서 logEvent 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름과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다. 어차피 자주 써야 할 거 같아서 따로 파일만들어 함수로 만들어 놓고 필요한 화면에서 사용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Home 화면 이벤트를 수집한다면, 어떤 유저가? 어디에 도착했다 이벤트 이름은 'pageView_home' 이렇게 이벤트 코드 작성 후 이벤트 수집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이때 debug view 를 사용하면 된다. 파이어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이벤트 수집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먼저 활성화 시켜야 하는데 그리 어렵진 않다. 공식 문서를 확인 해보자. 이전에 내가 작성한거 있으니 이것도 참고하면 좋겠다
  • 창업가필립
Figma 여러 프레임 PDF 추출하기
최근 포트폴리오 업데이트가 필요해 어떤 툴을 사용할까 고민하다 Figma 로 만들기로 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고 auto-layout 기능이 포트폴리오 만드는데 효율이 더 좋을거 같았다. 한 30 페이지 넘어가는 시점에서 문득 PDF 추출이 가능한가? 생각이 들었다. ㅋㅋ 다행히 최근 업데이트 버전에 export to PDF 기능이 추가되었다. (일 잘하는 Figma 👍) 그럼 Multiple Frame 도 가능할까? YES! 가능하다! Figma 메뉴 → "File" → "Export Frame to PDF" 하지만 조건이 있다! Frame 으로 만들어야 한다. Frame 이름을 너버링 해야 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사용하지 않는 프레임이 숨김 처리가 안되어 있다면 같이 추출되니 항상 주의 해야 한다.
  • 창업가필립
GA4를 이용해 앞으로의 기능 기획 해보기 1탄!
주식회사 스플래시가 망하기 전 Co-Founder는 나에게 이런말을 한적이 있다. 사용자 측정이 가능한 툴을 공부해 사용성을 체크하고 (사용자 피드백) 가설 바탕으로 기능 테스트를 할 수있는 일꾼이 되었달라고 했다. 너무 당연한거 아닌가? 하지만 막상 그렇게 실행하는 조직 (소기업, 스타트업 기준) 얼마나 있을까? 능력부족 보다는 리소스 부족이 크다. 나만 봐도 기획, 디자인, 개발 까지 너무 시간이 없었다. 근데 지금은 왜? 팀원이 1명 남은 상태에서 우리는 서비스 종료 보다는 그냥 우리가 해보고 싶은대로 다 만들고 천천히 운영해보자고 서로 약속했다. 누군가에게 보여줘야된다거, 고객을 만족시켜야한다는 압박감, 투자는 언제 받지? 투자 받을려면 이런게, 저런게 필요해 이런 걱정에서 벗어나니 마음이 너무 편했다. 그래서 요즘 책도 더 많이보고 시간을 갖고 리서치도 하고 개발, 기획, 디자인 이 모든게 너무 재미있다. ㅋㅋㅋ 하여튼 그래서 앞으로의 기능 개발을 하기위해 밑작업이 필요했다. 그게 GA4 로그 이벤트로 사용성을 체크하는거 였다. 자 이제 이벤트 로그 기획을 시작해보자! 로그가 필요한 영역 구분하기 영역에 필요한 값을 분석해 어떤 함수를 사용할건지 결정한다. 이벤트 네이밍 기획한다 이벤트 결과를 기록할 수 있는 문서를 만들어 기록한다 지금까지 생각나는건 4개 이지만, 더 늘어날 수 도 있고 줄어들수도 있다.
  • 창업가필립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