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사유지

기록집

💬
Think : 글쓰기
Story : 기록

겉은 한옥인데, 속은 하이테크인 집을 꿈꾸고

타이핑으로 기록하지만, 종이로 읽기를 선호하고

심플하지만, 쫀득한 그런 문장들을 쫒으며

다양한 사고 프레임으로 현상을 분석하기 좋아하는 블로거입니다.

Think
Story
23. 1ing
일독일행의 삶으로 어쩌다 23번째 글에 도착했다. 지속적으로 밖의 일을 만들어서 환경을 바꾸고 있다. 글쓰기를 통해 나를 깨닫거나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라던가 하는 깨달음은 만나지 못 했다. 아직 대신, 글에 꾸밈이 줄어들고 있다. 완전한 원을 그리는 대신에 시작과 끝점은 어떻게든 이을 수 있는 어떤 도형을 그리고 있다. 약간은 스스로에게 엉망진창이지만 그럼에도 다가가고 있다. 어쩌다 꺼내 읽은 책의 문장이 순간순간 선택을 바꾸는 핑계가 되어준다. 매일 글을 쓰게 된 계기는 자기소개서 때문이다. 자기소개서 속의 나는 괴물이 되어 내 모든 문장을 집어삼켰다. 그 어떤 표현들도 말로 도망치고, 문장에게 다가가지 못 했다. 언젠가 나는 글을 쓸 수 없는 사람이 되었다. 내 감정을 쓰는 것 조차 글로 남기지 못 했다. 발버둥으로 쓰레드에서 일단 생각나면 썼다. 그리고 수정도 다시 보지도 않았다. 그러면서 조금은 즉흥이 아닌 생각을 담는 글을 쓰고 싶다는 욕심이 살짝, 아주 살짝 생겼다. 이 시기에 몹글을 운영하시는 알레 작가님을 만나 13기 멤버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작가님처럼 '나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싶어 이렇게도 저렇게도 다양한 표현들을 시도했다. 여전히 나다움 말고 나 다음을 보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만들어서 쓰려고 하는 것을 던졌다. 태평양 어딘가로 대신, 쓰레드와 다르게 보여지는 일이 거의 없을테니 그냥 마음으로 썼다. 사고를 거쳐 정제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툭 치고 올라오는 것을 머리로 썼다. 내 반려도 처음에는 걱정을 했다. 너무 다 들어내는 것 아닌가, 그리고 글이 좀 무거워진 것 같다고 그래서 끝을 조금은 휘게 했다. 글에 온전히 마음 찌꺼기를 털어내고, 마침표 대신 쉼표로 다음을 이야기할 수 있게 했다.
  • 권준혁
22. 변화량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가 같다면 그건 책을 읽은 것이 아니다. - p.35 (feat. 일독일행 독서법 - 유근용 지음) 여러 가지의 변화가 있던 날이다. 오늘은 내 글에서 무거움을 넘어 다크함이 느껴진다는 피드백 작년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에서 갭이 크다 안경을 쓰다 그래서 지인을 만나러 갔다. 나를 살리러 그냥 이유가 없었다. 어느 순간 내 손에는 '일독일행 독서법'이라는 책이 들려 있었다. 잠깐의 이동 간에 읽어보려고 들었던가, 움직이고 싶어서 챙겼던가 싶다. 그동안은 해야하는 내용의 책들을 들고 다녔다. 그리고 생각보다 책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책 앞에 필기가 기록이 먼저 아른거렸기에 맘편히 독서를 진행하지 못 했다. 그저 한 줄 한 줄 읽으며 머리에 담든 가슴에 담든 혹은 맘에 드는 문구를 줄 치면서 기록하려고 했다. 그렇기에 책이 손에서 벗어나고, 웹소설이 들어왔었다. 그저 아무 생각없이 온전히 작가의 그림 속에 상상의 나래를 맘껏 펼칠 수 있었기 때문일까 왠걸 저자의 전개 방식이 담백해서 쉽게 읽혔다. 아마 큰 의미가 담기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간만에 종이책이 부담없이 읽혀서 재밌었다. 신호등을 지나칠만큼 p.35에 도달했을 때, 나의 서사는 잠시 멈춤을 가졌다.
  • 권준혁
👍
1
21. 생성형 AI - 이미지 생성에 대한 고찰
gpt4o에서 이미지 생성 관련 업데이트 이후 사람들의 열기가 뜨겁다. 크게 보자면, sora의 기술이 chat gpt와 연동이 되고, 한국어 인식 문제를 크게 개선한 느낌? 이었다. 솔직한 감정으로는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그저 오 조금 더 편리해졌다? 였다. 생성형 AI의 시장 근접이 일어날수록 대두되는 키워드가 있다. "대체" 한다는 표현. 시장 관점으로 보면 "대체성"에 대한 이야기는 Market Share에서의 논지라고 생각한다. Share의 비중에서 AI가 끼어들어오는 것은 필수불가결이 되었다. 반면, Market Pie를 이야기하는 사람은 적다. AI가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시장의 크기 자체가 커질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다. 이는 Prospect Theory와 연관이 있는데, 사람들의 행동원리에는 loss(잃는 것)에 대해 더 민감하다는 매커니즘이 존재한다. 즉, AI로 우리가 어떤 시장 전망을 이야기하는 것은 추상의 개념으로, 더 큰 개념으로 와닿아 하지 않는다. 반대로, 우리 먹거리가 얼마나 뺏길 수 있는지 대체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면 사람들이 더 큰 관심을 가진다. 자연스레 사람들의 주목을 이끌어야 하는 크리에이터들은 이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공포 심리를 자극한다. 이를 FOMO 라고 말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성공학(자기계발)에서 sales가 일어났을 때이다. 마치 이렇게 살지 않으면 나는 실패자야. 나는 도태되었어를 성공라이팅하던 일들이다.
  • 권준혁
2
👍
2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