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송 경제&문화 자본 이야기
관심있다면 ❓ 인상깊다면❗️
관심있게 보는 사업&서비스 인사이트 공유 공간
아리송이 1,000억 자산가가 되는 그날까지 to be continued..
2023.05.28
아리송
💡
1. 자산 기준
슈퍼 리치 : 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or 총자산 300억원 이상
부자 : 10억원 이상
2. 직업 구분(슈퍼리치 기준)
기업 경영인( 29% ) > 의료, 법조계 전문직(20%) > 부동산 임대업자(12%) > 기업 임원 (12%)
3. 소비 관련(슈퍼리치 기준)
1인당 월간 소비 금액 : 3700만원(저축, 대출금 상환 등을 제외한 기준)
4. 항목별 차지 비중 : 여행(24%) > 가족 및 본인 교육(20%) > 의류, 신발 등 패션(12%) > 운동 등 자기계발(12%)
일반 부자는 식료품 구매(23%), 슈퍼 리치는 (5%)
5. 부 축적 방식
투자(96%) > 근로소득(4%)
6. 돈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
부모 교육 or 가정 분위기(44%), 가족에 대한 책임감 (43%)
7. 슈퍼 리치 대표 성향 : ESTJ
E는 ‘외향형’, S는 ‘감각형’, T는 ‘이성적’, J는 ‘계획적’인 성격
특히 금융 자산 규모가 클수록 T(이성적), J(계획적)인 사람들의 비율 큼
일반 대중 사이에서 ESTJ의 비율은 8.5%에 불과하지만, 슈퍼리치 중에서는 3배 가까운 26.8%의 비율
*출처 :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3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
1
2023.06.01
아리송
2023.06.10
아리송
💡
책을 읽을 여유가 없는 분을 위한 주요 코멘트. 인간의 품격과 우아함은 '돈'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내 경제 자본을 늘리는 방법은 알겠는데, 그 외로는 어떤 자본을 늘려가야 할까?
문화 자본 : 갖기 제일 어려운 자본. 무엇을 즐기느냐가 그 사람의 품격을 결정함. 교양있는 사람은 취향을 표현하는데 시간 & 돈을 많이 쓰지 않음 (ex - 명품 등) → 내 경험에 투자하는 시간과 돈을 더 늘리기
사회 자본(인적자본) : 내가 어떤 사람들과 어울리는가? 무조건 사람을 많이 만나는 것이 아닌, 좋은 사람들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 → 모든 이야기가 알맹이 없는, 맨날 준비만 하고 있는, 어디서 들은 이야기만 하는 사람 멀리하기. 성공 유무와 무관하게 본인이 끝까지 해본 경험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채우기.
지식 자본 : 자기 분야에 대해 스타가 되는건 좋지만, 편협한 괴짜가 되는 것을 조심 할 것.
2023.06.12
아리송
모든 트렌드가 그렇듯, 다양한 외부 영향에 따른 거대한 흐름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그 이후 급격한 경기 부양으로 사람들은 저마다 SNS를 통해 브랜드 로고가 커다랗게 박힌 명품과 블링블링한 시계, 주얼리를 플렉스flex 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높아진 금리 탓에 모두가 경기 침체를 예상하는 지금, 트렌드 역시 그에 맞춰 급격히 바뀐 결과가 ‘조용한 럭셔리’인 것. 과거 마지막으로 ‘조용한 럭셔리’가 주요 트렌드로 꼽힌 것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무렵이었다. (전문 바로가기)

2023.06.16
아리송
도움이 되셨다면 ?이나 ! 이모지를
제목은 자극적(영상에서도 제목은 fake라고 언급)이지만 영상에서 다루는 내용은 꽤 사회변화를 잘 다루고 있는 콘텐츠.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이 너무 많아서/쉬워져서 그 시도를 진짜 빠르게 해야하는 시기
https://youtu.be/JJtxgvhnug8
❗
1
⁉️
1
❓
1
2023.06.20
아리송
서울 부자들은 여행, 여가·운동, 미용 관리를 즐기며, 여행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가적 소비지출이 주로 강남 3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
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는 유럽(30%)이며, 다음으로 국내(17.3%), 호주 등 대양주(13.0%), 하와이·괌·사이판(11.3%) 순
서울 부자들의 소비유형은 비교적 다양하며, 그 중 ‘자기보상형’(23.7%)과 ‘가치 소비형’(22.3%)이 상대적으로 많음
자신을 드러내고자 마음껏 쓰는 유형(자기표현형, 6.7%)보다는, 생활에 꼭 필요한 돈만 쓰거나(필수소비형, 15.7%), 저렴한 가격을 찾는 유형(가성비 형, 13.3%)이 상대적으로 많음
자산이 많을수록 필수소비형이 줄고 가치소비형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그 외 연령별, 거주지역별, 직업별 소비성향 차이는 크지 않음
❓
1
⁉️
1
❗
1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write posts
Share
아리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