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
/
/
알면 200만원 버는, 사회초년생 예적금팁
Share
Sign In
알면 200만원 버는, 사회초년생 예적금팁
* 예적금만 5년 이상 판 [예적금 전문가]가 사회초년생 분들이
알면 200만원 벌어가는 예적금(안전자산) 관리 방법
을 알려드려요.
요약 - 아래 1번 부터 순서대로 돈이 모이는대로 저축을 실행 하면, 매년 약 200만원의 금융소득을 안전하게 가져갈 수 있어요 (약 10% 이자율)
첫 번째 저축, (자유입출금예금)
-
카카오페이증권 종합계좌
총 30만원
-
연이율 5% (금융 소득 연 15,000원)
두 번째 저축, (자유입출금예금)
-
케이뱅크 생활비통장
총 300만원
-
연이율 5% (금융 소득 연 150,000원)
*이자율 3%(+2% 상당 구독비 지원)
세 번째 저축, (적금)
-
청년도약계좌
월 70만원
-
연이율 약 7% (금융소득 연 588,000원)
*정부지원 상품, 금융사 크게 상관 없음
** 5년 만기 상품
네 번째 저축, (청약적금)
-
청년우대 주택청약종합저축
월 10만원
-
연이율 4.3% (금융소득 연 51,600원)
*연소득 3600만원 이하, 금융사 상관 없음
** 10년 만기 상품
다섯 번째 저축, (IRP-개인퇴직 연금 저축)
-
연금 저축
900만원
-
연이율 13.2% (금융소득 연 1,188,000원)
*금융사 크게 상관 없음
** 연금 저축은 만 55세 부터 출금 가능
💰 알기만 하면
연간 200만원 버는 예적금 정보
1) 적금하기 전, 언제든 가용 가능한 예비비를 먼저 마련하고
[ 파킹통장 ]을 활용하세요
예금/적금을 중도해지 하면
기존 예적금 이자를 받을 수 없어요!
사회초년생일 때는 갑작스럽게 나가는 큰 돈(경조사 비, 병원비 등)에 대해서는 아직 감이 부족하다보니, 예상치 못한 지출들로 예적금을 중도해지하시는 경우들이 많은데요. 중도해지예방을 위해 예비비를 먼저 마련하고, 적금을 드세요.
예적금은 고금리 파킹통장(자유입출금예금)에 넣으시면, 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괜찮은 파킹통장으로는 아래 상품들이 있어요
1) 카카오페이증권 종합계좌 (= 카카오페이 계좌)
- 한도는 소액 이지만(30만원)
연 이율은 5%
인 파킹통장! 한도는 작지만, 생각보다 사람간 돈보낼 일(밥값정산)들이 있을 때가 많아 유용해요
2) 케이뱅크 생활비 통장
- 실금리는 3% 이지만, 24년 6월까지 300만원 한도를 계속 유지시 구독비(쿠팡/네이버페이)를 지원해주고 있어서
실제 이율은 5% 정도!
기타 : 저축은행 파킹통장도 금리가 높아요(4%이상)
OK저축은행, 다올 저축은행 등
* 금리 3% 예/적금 중도 해지 시, 실제로는 0.01% 금리 이자 밖에 못 받아요. 1000만원 적금해서 30만원 받을 거 1천원 받는 꼴😭
2)
정부지원 적금 상품을 현명하게 활용
하세요!
*금융감독원 ‘청년희망적금 운영현황’에 따르면 청년도약 계좌의 중도 해지율은 23.7%로 나타났다 - 238만 계좌 중 68만 계좌가 중도 해지 (한겨레 2023.08.06)
정부 지원 적금은 만기까지 최소 2년 이상이라, 처음에 들 때 계속 내가 해당 금액을 납부 할 수 있을지를 잘 계산해 봐야해요!
만기가 길지만, 그만큼 이자도 많이 높게 준답니다.
조건이 충족된다면 정부 지원 상품 놓치지 마세요!
1. 청년도약계좌
월 납입금
: 1천원 ~ 70만원 매월 자유 납입
만기
: 5년
금리
: 약 연 7%
신청 방법
: 은행 앱 가입
*가입 신청 및 심사(약 3주 소요)
안내 : 만 19세 ~ 34세 청년 중,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서민금융진흥원 |
ylaccount.kinfa.or.kr
2. 청년내일채움공제
월 납입금
: 16만원
만기
: 20개월 동안 총 400만
이자
: 800만원 이자 수령
신청 방법
: 기업이 청년내일채움 공제 신청 후 납입
안내 :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 정규직 근무자
청년내일채움공제
work.go.kr
3. 청년우대청약통장
월 납입금
: 매월 2만~ 50만 원 범위 내에서 자유납입
만기
: 청약을 위한다면 지속 유지 필요 (평균 10 - 20년)
*월 최소 납입 2만원, 공공분양을 위해선 10만원 유지
금리
: 4.3% (1.5% 청년 우대 금리)
신청 방법
: 기존 주택 청약 통장 가입 방법 동일
안내 : 만 19세 ~ 34세 청년 중,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3) 장기적으로 보고
세금 절약
하세요!
개인형퇴직연금(IRP)에 최대 900만원을 넣어 놓으면, 연간 연금저축액의 13.2% - 최대 118.8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세액공제란? 우리는 월급을 낼 때 평균 10% 이상 (소득세 및 지방세) 명목으로 사전 세금을 내고 있는데요.
돈을 노후가 될 때까지, 묶어두어야하기 때문에 정부에서 세제 혜택을 높게 줍니다! 하지만 중도 해지하면 그동안 세제 혜택 받은 것을 다시 돌려 내야하니... 꼭 고민 해보고 드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무리
사회 초년생 때 2,190만원을 한 번 저축해 놓고 나면
5~10년간
매년 198.8만원의 금융수익
을 누리게 됩니다.
한 번 예적금을 활용한 연간 금융 수익 사이클을 만들면,
월 16.6만원이 자동으로 들어오는거나 마찬가지에요.
이 정도만 되어도 취미생활 하나혹은 술값 3~4번 정도는 부담없이 쓸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될 거에요.
(물론 소비보다는 저축이 좋겠지만…ㅎ)
당장은 2,190만원까지 저축 하는 길이 부담될 수도 있겠지만, 여러분 할 수 있어요! 비상금을 파킹통장에 넣고,
매일 적금을 꼬박꼬박 넣다보면 언젠가는 매년 200만원의 금융수익을 누리는 자신을 발견하실 수 있으실거에요.
모두 부자 되는 저축 생활 하시기를!!
* 2023년 12월 기준 금융사 최신화 자료
** 해당 게시물에 별도 금융상품 광고는 없습니다. 추천하는 예금 및 적금 상품의 금융사 금리정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얻기➡️
Made with Slash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