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이 지문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 (11.13.)
이 글은 2024년 11월 13일 (수능 전일) 포만한 수학연구소에 게시된 아드바크의 칼럼을 옮긴 것입니다. 원본 링크 1. 수능영어 독해 지문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주제를 어렵게 하는 것과 논리구조를 어렵게 하는 것, 두 가지로 구분된다. 2. 두 가지는 원래 독립변수다. 즉, 주제의 난이도가 같더라도 논리구조를 어렵게 만들 수도 있고, 논리구조가 같더라도 주제를 어렵게 가져갈 수도 있다. 3. 평가원은 두 방식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사용하며, 6평과 9평에서 항상 두 가지를 모두 실험해보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런데 작년에 비해 올해는 주제의 낯섦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특히 민감했다. 따라서 올해 수능에서 평가원은 정답률 40%대의 적당한 빈칸 문제를 낼 때 논리구조를 어렵게 하는 대신 주제를 쉽게 가져가거나(9평 34번), 주제를 어렵게 하는 대신 논리구조를 쉽게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6평 33번). 즉 둘다 어렵게 내긴 쉽지 않을 것. 결론은 수능에서, 주제가 너무 어렵다면, 논리구조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올 것이니 찬찬히 한 문장씩 의미 변화를 따라가며 읽으시면 되고, 논리구조가 복잡한 지문은 그래도 이해할 수 있는 주제로 나올 확률이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본 실력대로 잘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분석의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이번 6평 32번과 34번입니다. 딥러닝 모델을 활용해 두 지문의 논리구조를 분석해볼까요? 아드바크의 AI는 각 문장의 논리구조를 대표하는 특성을 추출하여 이를 3차원으로 축소시킨 뒤 시각화합니다. 아래 그래프는 각각 32번과 34번 문제에서 문장별 의미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두 문제 모두 유사한 논리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왼쪽은 32번 문제, 오른쪽은 34번 문제) 이는 두 문제의 문장간 논리 구조가 거의 비슷함을 의미합니다. (통념/반박 구조라고 보통 부르는 그것이죠) 그러나, 오답률에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32번 문제: 오답률 55% (주제: 창의성에서 유용함의 중요성)
- 박상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