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소식 >

국내의 다양한 전시 소식을 다룹니다.
All
서울
경기
강원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부산
광주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종료
  1. 부산
2024/11/30
2025/03/16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191 부산현대미술관 전시실 4,5
갤러리 도스 기획 Claire Kim ‘Fictional Veracity|허구적 진실성’展
종료
  1. 서울
2025/03/12
2025/03/18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갤러리 도스 제1전시관(B1F)
2025년 OCI미술관 소장품전 《털보 윤상과 뮤-즈의추억》
종료
  1. 서울
2025/01/16
2025/03/22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4 (수송동, OCI미술관) 1층, 2층, 3층
신정균 개인전: 예언과 시나리오
종료
  1. 서울
2025/02/21
2025/03/23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로54길 8 아마도예술공간
Sam Gilliam: The Flow of Color
종료
  1. 서울
2025/01/10
2025/03/29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67 페이스갤러리
ACC FOCUS 〈구본창: 사물의 초상〉
종료
  1. 광주
2024/11/22
2025/03/30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아시아문화전당) 복합전시 3, 4관
A Sweet New Life
종료
  1. 서울
2025/01/25
2025/03/31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17 (삼성동, 현대백화점) 8층 H.art LAB
유현경: 나는 피안으로 간다
In Progress
  1. 서울
2025/02/28
2025/04/11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30길 63 (신사동) 갤러리JJ
획: Stroke
예정
  1. 서울
2025/03/13
2025/04/12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1길 37 디아 컨템포러리
미안해요 데이브 유감이지만 난 그럴 수 없어요
In Progress
  1. 부산
2024/11/30
2025/04/13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191 부산현대미술관 전시실 2,3
나는 웃으며 잠에서 깼다
In Progress
  1. 서울
2024/03/08
2025/04/19
서울 금천구 범안로9길 23 (독산동)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사물들의 힘
In Progress
  1. 서울
2025/01/14
2025/04/25
서울 서초구 사평대로 84 (반포동, 이수화학빌딩) 1층, 스페이스 이수
온나 온나, 모다 모다
In Progress
  1. 부산
2023/03/01
2025/04/30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191
부산현대미술관
오를랑 하이브리드: 아티스틱 인텔리전스
In Progress
  1. 경상도
2025/01/21
2025/05/11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환호공원길 10 포항시립미술관 (환호동 352)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예정
  1. 경상도
2025/03/14
2025/06/15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경남도립미술관 1,2층
더하고 나누고
예정
  1. 경상도
2025/03/14
2025/06/15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경남도립미술관 3층
생이 깃든 소나무
In Progress
  1. 서울
2025/02/26
2025/06/30
서울 성북구 성북로 134 성북구립미술관 앞 복합문화공간 거리갤러리(성북동 119-4)
피에르 위그 : 리미널
In Progress
  1. 서울
2025/02/27
2025/07/06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리움미술관

사물들의 힘

Status
In Progress
지역
  1. 서울
시작 날짜
2025/01/14
마감 날짜
2025/04/25
장소
서울 서초구 사평대로 84 (반포동, 이수화학빌딩) 1층, 스페이스 이수
김범, 박이소, 박진아, 베르트랑 라비에, 서도호, 양유연, 이주요, 임민욱, 정광호, 정서영
Kim Beom, Yiso Bahc, Jina Park, Bertrand Lavier, Do Ho Suh, Yooyun Yang, Jewyo Rhii, Minouk Lim, Jung Kwang Ho, Seoyoung Chung
이수그룹의 문화예술 공간 ‘스페이스 이수’는 2025년 1월 13일부터 4월 25일까지 《사물들의 힘》전을 개최합니다. 《사물들의 힘》은 일상적 사물들을 통해 미술과 미술이 아닌 것 사이를 오가며 미술에 대해 탐구하는 열 명의 작가의 ‘사물들’을 소개하는 전시입니다.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는 사물들은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익숙한 것들이면서도 작가들의 전복적 상상력으로 또 다른 삶을 살게 된 낯선 것들입니다. 이들은 사물과 작품, 삶과 예술, 어느 쪽에도 완전히 속하지 않은 채 그 사이를 오가며 우리를 난처하게 하고, 새로운 언어와 대안적 문법을 고민하게 하고, 우리와 사물의 관계를 끊임없이 재정립하도록 요구합니다.
이번 전시의 주인공인 사물들은 매끄러운 비닐민속장판(정서영, 〈–어〉), 차곡차곡 쌓아 올린 A4 용지 더미(박이소, 〈A4를 위한 소조〉), 촉촉한 수분을 뿜어내는 대야, 스펀지와 수건 같은 잡동사니들(이주요, 〈가습기〉), 인생 시기마다 갈아입은 유니폼들(서도호, 〈유니폼/들: 자화상/들: 나의 39년 인생〉), 전시장 벽에 밝은 화면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박진아, 〈프로젝터 테스트〉), 이른 저녁부터 어둠을 밝혀 주는 임시 작업등(양유연, 〈From Early Evening〉), 지점토로 빚은 통닭 두 마리(김범, 〈12개의 조각적 조리법〉), 따뜻하게 데워주는 전자레인지(베르트랑 라비에, 〈FM 400〉), 길게 펼쳐지는 보드라운 카펫(임민욱, 〈알라딘_인터체인지〉), 아무것도 담을 수 없는 그물망 항아리(정광호, 〈항아리〉)입니다. 무대에 오른 사물들은 우리에게 친숙한 일상적 사물이자 생경한 미술 작품입니다. 이들은 때로는 우리를 당황하게 하는 악동이면서, 함께 일하고 음식과 온기를 나누는 동료이고, 우리의 은밀한 개인사와 함께 겪어온 시대사를 조잘대는 이야기꾼이고, 때로는 우리 몸을 감싸안고 위로하는 친구이자 우리가 알던 미술이 미술이 아니라고 가르치려 드는 선생입니다.
《사물들의 힘》은 실재 대신 정보가 우리 삶을 지배하는 오늘날, 우리의 동반자인 사물들을 섬세하게 인식하고, 잊혔던 사물들의 힘을 회복하며, 사물들과 함께 살아가기를 이야기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들의 사물들 사이를 거닐면서 사물이 미술이 되는 순간에 동참하고, 우리 곁을 지켜 온 사물들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스페이스 이수
전시 정보 링크 ⬇️